earticle

논문검색

일과 생활의 균형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고용불안정성의 조절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s of Work-Life Balance on Job Performance : Moderating Effects of Job Insecurity

배호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empirical research was designed to analyze the effects of work-life balance (work-family balance, work-leisure balance and work-development balance) on job performance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job insecurity in the creative economy.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relationships among work-life balance, job performance, and job insecurity on the basis of the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existing theories. The empirical research was done with the surveys of 323 samples after questionnaire surveys were administered. Through the in-depth analysis of validity, reliability, correlation,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8.0, we have two important findings. First, work-leisure balance and work-development balance have positive effects on job performance. Second, job insecurity has positive moderating effects only between work-development balance and job performance. According to these results, we specially have to manage both work-life balance and job insecurity in the end.

한국어

본 연구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일과 생활의 균형과 관련된 연구이다. 즉 일과 생활의 균형(일과 가정의 균형, 일과 여가의 균형, 일과 성장의 균형)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일과 생활의 균형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고용불안정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개인수준의 연구이다. 이를 위해 일과 생활의 균형, 고용불안정성, 직무성과에 대한 기존 이론과 실증연구들을 분석하여 연구모형을 구축한 뒤, 변수들간 관계를 SPSS 18.0을 활용하여 실증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상업교육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의미있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일과 생활의 균형 중 일과 가정의 균형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일과 여가의 균형과 일과 성장의 균형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과 생활의 균형 중 일과 성장의 균형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만 고용불안정성의 긍정적(+)인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는 창조경제 시대를 맞이하여 일과 가정의 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시 되지 않았던 일과 여가의 균형과 일과 성장의 균형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을 시사하며, 향후 기업의 새로운 인적자원 및 노사관계 전략을 제시해 주고 있다. 또한 기업의 일과 생활의 균형과 고용불안정성의 전략적 관리 필요성을 제기해준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표본의 한계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후속연구에서 이러한 연구의 한계를 극복한다면 더욱 실무적으로 의미있는 결과가 도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일과 생활의 균형
  2. 직무성과
  3. 고용불안정성
 Ⅲ. 가설설정
  1. 연구모형 설정
  2. 연구가설 설정
 Ⅳ. 연구 방법
  1. 표본과 자료수집
  2. 변수의 측정
 Ⅴ. 실증분석
  1.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2. 상관관계 분석
  3. 가설 검증
 Ⅵ. 결론
  1. 연구결과 요약 및 시사점
  2. 연구의 차별성
  3. 연구의 한계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배호영 Bae, Ho Young. 우송대학교 철도경영학과 초빙교수(경영학 박사)·동아대학교 대학원 학연산 국제법무학과 박사과정(법학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