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학교 초임 여교사의 직관적 사고에 의한 체육수업 과정 발견

원문정보

The process of Physical Education Class through intuitive thinking of newly appointed elementary female teachers

이제행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of Physical Education class through intuitive thinking of newly appointed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newly appointed 6 female teachers, who were working at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to July 2015 with in-depth interview, open-ended questionnaire, and document analysis. Individual case records and profiles were analyzed by Spradley's(1980) suggestion. Triangulation, peer debriefing, expert consultations, and participant checks were used for the trustworthiness of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teaching behaviors of newly appointed female teachers were categorized as anxiety, challenge, enthusiasm, and reflection. In the phase of anxiety, newly appointed female teachers experienced the embarrassment or discomfort that comes of their own first experience for Physical Education class. In the phase of challenge, they expressed their own willingness to 'let's give it a try'. But they experienced frustration again. In the phase enthusiasm, they showed strong passion for Physical Education class using learning preparation, exercise practice, and movement demonstration. And in the phase reflection, newly appointed female teachers felt keenly more and more the necessity of self-study, textbook research for Physical Education class.

한국어

본 연구는 초등학교 초임 여교사가 체육수업 경험과 그에 대한 직관적 사고를 통해 초등학교 체육수업의 과정을 이해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년 전반기에 초등학교에 첫 발령을 받아 재직 중인 초임 여교사 6명 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과 분석은 2015년 3월부터 7월까지 면담과 서술형질문지, 문서를 통해 Spradley(1980)의 영역분석과 사례추출, 성분분석, 분류체계분석을 통해 연구 문제와 관련된 주제들을 중심으로 중영역과 대영역 범주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공통적이고 타당한 핵심 주제들을 도출하였다. 초임 여교 사들이 보인 체육수업의 공통된 과정은 크게 4가지 과정, 즉 불안기, 도전기, 열정기, 반성기로 전개되었다. 불안 기는 걱정과 불안, 심리적으로 두려움까지 갖게 되는 상태로 초임 여교사 스스로도 자신을 믿지 못하고 자신감을 결여된 상태에서 체육수업에 대한 강한 의문을 표명하였다. 도전기는 심리적으로 두려움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일단 해 보고자 하는 의욕을 보인다는 점에서 불안기와는 구별되었다. 낙관적 기대감을 갖고 도전하지만 결국 누 구의 도움도 없이 혼자서 해야 한다는 사실에 또 다시 좌절하였다. 열정기는 초임 여교사의 마음속에서 체육수업 을 잘 하고 싶다는 의욕이 강하게 자리 잡는 시기로 교사 커뮤니티 활동, 학습 준비와 연습, 그리고 교사시범 등 과 같은 열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반성기는 열의만 가지고는 부족하다는 것을 느끼고 자기반성을 통 한 발전을 모색하는 시기로 개별적으로 운동을 배우거나 연수 참여, 교과서와 지도서 등을 통한 교재 연구로의 노력 등이 나타났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참여자
  2. 자료 수집
  3. 자료 분석
  4. 자료의 진실성과 윤리성
 Ⅲ. 연구결과 및 논의
  1. 불안기: 체육수업을 해 낼 수 있을까!
  2. 도전기: 체육수업 일단 부딪쳐 보지, 뭐!
  3. 열정기: 체육수업 정말 잘하고 싶다!
  4. 반성기: 체육수업에 대한 노력이 더 필요하다!
 Ⅳ. 요약
 참고문헌
 ABSTRACTS

저자정보

  • 이제행 Lee, Je-haeng. 경인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