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도시 미디어 공간의 문화적 맥락과 사회 참여적 예술의 가능성 - 미디어 파사드 작품사례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Cultural Context of Urban Media Space and The Possibility of Social-Participatory Art - Based on the Cases of Media façade Works

김현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research examines the cultural context of urban media space and investigates the possibility of media art as an interventional social-participatory art based on an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cases. Referencing earlier work, it is found that urban media space has contributed to constructing the image of modernity since the 19th century and that urban media space is characterized by ephemeral hybridity with the attributes of non-placeness, augmented space and mixed space involving the public and the private. Urban media space in the form of an ephemeral hybrid with non-placeness and spectacle also has the aesthetic significance of a practiced and relational space. In this sense, urban media space bears the possibility of media art, which can be interventional, social-participatory art. Three conditions pertaining to this possibility are suggested: artists' intentions toward intervention, artistsdee conditions se, urban media space bstructure, and the audience-participatory nature of the work. The case study conducted as part of this research involved the Chaos Computer Club, Graffiti Research Lab, the Seoul Square M.Planet project focusing on Oh Jae Woo, and the New Media Art Research Association. An analysis of the findings of the case study found that foreign media façade projects are conducted more flexibly than domestic cases in which artists voluntarily tend to seek social interventions within certain legal boundaries. Increased accessibility to the media façade infrastructure would be critical with regard to acquiring more social-participatory works and ultimately for developing examples of urban media space for urban communic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도시 미디어 공간이 가지는 문화적 맥락을 문헌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도시 미디어 공간에서 사회 참여적이고 개입적인 예술로서 미디어 아트의 가능성과 그 조건을 국내외 사례를 통해 진단해 보고자 했다. 도시 미디어의 장소성과 관련된 문헌의 고찰에서, 도시 미디어 공간은 이미 19세기 파리에서 부터 모더니티 이미지의 형성에 기여를 했고, 비장소성, 증강공간, 탈경계의 공간의 소멸적 혼성 공간으로 그 문화적 맥락을 읽을 수 있었다. 또한 드 세르토와 맥콰이어의 주장대로, 소멸적 혼성 공간인 도시의 미디어 공간은 실천된 공간이자 관계의 공간으로서 유의미한 미학적 함의를 지닌다. 이러한 도시 미디어 공간은 사회 참여적 예술을 만들어내는 미디어 아트의 가능성을 잠재하고 있다. 도시미디어의 대안적 개입과 저항의 움직임에 대한 가능성을 작가의 개입 의도성, 미디어인프라 접근성, 관객의 참여 가능성이라는 세 가지의 조건으로 제시하고, 카오스컴퓨터클럽, 그래피티리서치랩, 오재우와 뉴미디어아트연구회의 기획이 포함된 서울스퀘어 엠플라넷의 일부 사례를 통해 분석해 보았다. 결과적으로 해외 미디어 파사드 프로젝트는 아직까지는 미디어 인프라의 접근성이 좀더 유연하게 확보되는 반면, 국내의 경우는 제도권 내에서 선별적으로 주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내의 미디어 파사드에 대한 작가의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좀 더 다양한 사회참여적인 작품의 수급과 결과적으로 의미 있는 실천과 관계의 공간으로 도시 미디어 공간을 발전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1.1 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미디어 파사드의 전개 양상
  2.1 기원과 시작
  2.2 본격적인 도시 미디어화의 전개
  2.3 비상업적 목적의 미디어 파사드 프로젝트
 3. 도시 미디어 공간의 문화적 맥락과 미학적 함의
  3.1 소멸적 혼성 공간 - 비장소, 증강공간 그리고 탈경계의 중첩 공간
  3.2 도시 미디어 공간의 실천과 관계의 미학
 4. 도시 미디어 공간에서 사회 참여적이고 개입적인 미디어 아트의 가능성과 조건
  4.1 사례 1: 해외 도시 미디어 이벤트
  4.2 사례 2: 한국의 도시 미디어 이벤트
  4.3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현주 Kim, Hyun Ju. KGIT(한독미디어대학원대학교) 뉴미디어콘텐츠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