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학교전담경찰관의 인식

원문정보

School Resource Officers' Perception toward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Local Board against School Violence

이창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school violence gets serious, the school system created the local board against school violence in order to respond to school violence effectively. Yet, there are not many studies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local board against school violence. A few studies investigated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local board while the information about the school resource officers’ perception is not known much. The current study surveyed school resource officers about their perception towards the function of the local board, its member, and the response of the principal to school violence. Participants are the school resource officers working for the four metropolitan police agencies(Seoul, Kyunggi, Busan, and Ulsan) in Korea, and were asked to answer to structured and open-ended quest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officers thought the local board did not very well for the function of protecting the victim’s rights. In addition, they believed that the participation of parents needs to be limited in the membership, and more experts should be included in the membership of the local board. They also thought the principals should be tough in dealing with school violence. The discussion includes ideas about improving professionalism of the membership and making changes on the related regulations.

한국어

학교폭력이 심각해짐에 따라 학교차원에서 이를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를 설치하였지만, 이 위원회가 효과적으로 그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가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기존의 연구는 대부분 교사의 입장에서 자치위원회를 바라보는 인식들을 주로 조사하였고, 자치위원회의 주요 구성원 중 한 명인 학교전담경찰관이 느끼는 인식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학교전담경찰관을 대상으로 자치위원회의 기능에 대한 만족도, 인적구성의 적합성, 학교폭력에 대응하는 학교장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포함하는 4개 지방경찰청(서울, 경기, 부산, 울산)에 소속된 학교전담경찰관으로 구성되었고, 자기기입식 방법을 통해 정형화된 문항과 개방형 문항에 대해 응답을 요청하였다. 자료의 분석 결과, 학교전담경찰관들은 자치위원회가 학교폭력 피해자의 보호와 구제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그 기능이 미흡한 것으로 인식하였고, 인적 구성에 대해서는 학부모의 참여를 어느 정도 제한하고, 외부 위원의 참여가 보다 확대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학교장이 학교폭력에 대해 보다 엄중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자치위원회 참여위원의 전문성을 제고하고 관련 규정을 개정하기 위한 논의가 제시되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논의의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창배 Lee, Chang-Bae. 울산대학교 경찰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