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nalyzes the function of connecting endings in the context of discourse·text. The researcher focuses on the context in which the writer uses connecting endings instead of short sentences to form sentences. To conduct this analysis in the context of discourse·text, the study applied the Rhetorical Structure Theory(RST)—an instrument for examining discourse·text from columns written by experts—to analyze the role of connecting endings. ‘-go’ is the most commonly used connecting ending in columns. ‘-go’ connects two coordinate meanings and also serves as seven rhetorical meanings of elaboration, volitional result, sequence, contrast, background, evidence, and joint, specifically, among which it is largely used as the meaning of sequence. As ‘-jiman’ means ‘contrary to the previous description’, it can be expected to mean contrast. However, it is used in the context of antithesis and concession. Further, ‘-(eu)myeo’ is rhetorically used as joint as well as specific elaboration or evidence. The study also found that it is used with ‘-(eu)myeo’ and ‘-go’ in the context of joint.
한국어
이 연구는 전문 필자의 문장이 다른 필자의 문장에 비해 짧다는 점에 착안하여, 연결어미가 문맥에서 가지는 역할과 의미를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해 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실제 언어생활에서 화자는 ‘문맥’을 고려하여 연결어미나 종결어미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연결어미의 의미를 ‘담화․텍스트’ 차원에서 분석하고자 전문 필자가 쓴 글인 ‘칼럼’을 대상으로, ‘담화․텍스트’를 분석하는 도구 중 하나인 ‘수사구조이론(RST)’을 적용하여 ‘연결어미’가 쓰인 문맥의 수사 의미 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칼럼에 제시된 ‘-고’는 연결어미 중 가장 많이 쓰였다. ‘-고’는 대등하게 두 사실을 연결하는 의미이나 보다 구체적으로 ‘상세설명(Elaboration)’, ‘의도적 결과(Volitional Result)’, ‘연속(Sequence)’, ‘대조(Contrast)’, ‘배경(Background)’, ‘증거(Evidence)’, ‘연결(joint)’의 7가지 수사 의미 관계로 쓰이며, ‘연속(Sequence)’의 의미 관계로 가장 많이 쓰였다. ‘-지만’은 앞의 내용과 반대되는 내용을 말한다는 의미를 가지므로, ‘대조(Contrast)’의 의미로 쓰일 것으로 예상되지만, 실제로 ‘대비(Antithesis)’와 ‘양보(Concession)’의 문맥에서 주로 쓰였다. ‘-(으)며’는 ‘연결(joint)’의 문맥뿐만 아니라 보다 구체적으로 ‘상세설명(Elaboration)’이나 ‘증거(Evidence)’ 등의 수사 의미 관계를 갖는 문맥에도 쓰였다. 또 ‘연결(joint)’의 문맥에서 ‘-(으)며’와 ‘-고’가 함께 쓰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분석 칼럼 수가 적고 타당성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으나, 전문 필자들이 연결어미를 쓰는 문맥과 그러한 문맥이 갖는 의미를 분석했다는 점, 응용 언어학 분야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수 있다.
목차
1. 서론
2. 수사구조이론(Rhethorical Structure Theory)과 연구 방법
3. 문맥분석을 통한 연결어미 수사의미 관계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