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xploratory Study on the Policies and Systematic Plan for Improving the Employment Rate of the Executive Members Who Plan to be Discharged from the Korean Military
초록
영어
The research investigated the governmental policy and the systematic plan for the executive members who are planning to be discharged from the Korean military force as exploratory study. Moreover, it proposed the suggestions to improving the employment rate of future military retires. The study examined the governmental policy and institutional factors that are running to raise the employment rate of the current department of defense services throughout the literature review.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in five major parts. First, the systematic plan needs to be more active to support the executive members who are planning to be discharged from the military. Recently,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established several employment support centers, but the promotion are not enough. Many veterans still recognize there are employment support centers. Second, it needs to develop the employment officer position, so our veteran members can use the service after their retirement. Therefore, they should be able to use the knowledge learned from the army effectively for the public institutions or private companies. Third, the military need to adopt the culture that executive members can attend the job fair comfortably. Forth, the government needs to apply employment insurance with professional soldiers, so each one can get rid of their worries of their retirement. For the last, the government needs to find the solution that the careers in the army are accepted in the outside society. This is the most important matter that the military knowledge and the experiences are recognized as the professional. Additionally, the military need to issue the some kind license to the veteran soldiers who want to retire. Currently,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or the ministry of patriots, veterans affairs, and many other military related organizations are supporting re-employment of the professional soldiers who served in the military for long time in many ways such as employment support system, developing employment officer position, enlarging job fair, adopting the employment insurance for the professional soldiers, and providing certification for the military knowledge which can be accepted in the private companies. The research examined the governmental policy and the systematic plan for the executive members who are planning to be discharged from the Korean military force by the various military related institutions. Also the study suggested areas for improvements, so it may have academically effective. Many military related institutes can adopt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support the employments of the executive members who are planning to be discharged from the Korean military force. Then, people who get rid of their fear about the retirement, can get more focus on their daily life in the military service.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군 전역대상자의 취업률 제고를 위한 정책 및 제도적 방안에 대하여 탐색적 연구를 실시하여 향후 군 장병들의 취업률 제고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 문헌연구를 통하여 현재 국방부 및 군 관련기관에서 장병들의 취업률 제고를 위하여 실행하는 정책 및 제도적인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는 크게 다섯 가지로 요약해 볼 수 있다. 첫째, 제대군인 취업지원 제도를 더욱 활성화하여야 한다. 현재 국가보훈처는 몇몇 제대군인지원센터를 설치하였지만 이에 대한 홍보는 너무 미흡한 수준이므로 이에 대한 홍보에 더욱 더 힘을 기울여야 한다. 둘째, 군내 취업직위를 개발하고 우리 간부들이 전역 후 사회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보직을 개발하여 추후 공공기관 및 사기업에서 군에서 배운 지식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군 간부들을 대상으로 한 취업설명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되 전역 간부들이 편안하게 참석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 넷째, 직업군인들에게도 고용보험 제도를 적용하여 군인들이 노후의 걱정이 없는 군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군에서의 경력이 사회에서 인정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한다. 이는 가장 크고 중요한 문제로 군 간부들이 군에서 습득한 지식과 경험에 대해 특정한 전문가임을 인정하고 군 경력과 경험에 대해 자격증을 부여하여야 한다. 현재 국방부 및 국가보훈처 등 여러 군 관련 기관에서 장기간 복무 후 전역하는 직업군인들의 재취업을 위하여 제대군인 취업지원 제도, 군 내 취업직위 개발, 취업설명회 확대 시행, 군인 고용보험제도 도입 추진, 군 경력 및 교육의 사회인증 제도 등 다양한 방법으로 지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군 관련 기관들이 실행하고 있는 이러한 여러 방법들을 좀 더 심도 있게 고찰하였고 이에 대해서 개선할 부분을 제언하였기에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여러 군 관련 기관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현재 진행하고 있는 장기간 복무 후 전역하는 직업군인들의 재취업을 위한 방안을 수정하여 향후 더 많은 우리 군 장병들의 취업률을 높일 수 있고 이는 고용의 불안에서부터 벗어난 군 간부들의 현 군 생활의 집중에도 더욱 도움이 될 수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군 전역자 취업 현황
2.1 군인 재취업 개념
2.2 제대군인의 취업관련 특성
2.3 제대군인의 재취업 현황 및 문제점
Ⅲ. 전역대상자 취업률 제고를 위한 정책 및 제도적 요인
3.1 제대군인 취업지원제도
3.2 군내 취업직위 개발
3.3 취업설명회 확대 시행
3.4 군인 고용보험제도 도입 추진
3.5 군 경력 및 교육의 사회인증 제도
Ⅳ. 결론
4.1 연구결과 요약
4.2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