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Effect of Preschooler-Reconstructed Traditional Play Activities on Social Competence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raditional play activities reconstructed by preschoolers on their social competenc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6 preschoolers in two different classes of Western age 5 in a kindergarten attached to N elementary school in Hongcheon-gun, Gangwon Provi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preschooler-reconstructed traditional play activities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 social competence of the preschoolers(p<.05). It implied that the preschooler-reconstructed traditional play activitie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ir social competence.
First, the preschooler-reconstructed traditional play activities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ir cooperativeness(p<.05). It implied that the preschoolerreconstructed traditional play activitie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ir cooperativeness.
Second, the preschooler-reconstructed traditional play activities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ir understanding of others(p<.01). It implied that the preschooler-reconstructed traditional play activitie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ir understanding of others.
Third, the preschooler-reconstructed traditional play activities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ir autonomy(p<.01). It implied that the preschoolerreconstructed traditional play activitie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ir autonomy.
Fourth, the preschooler-reconstructed traditional play activities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ir peer interaction(p<.05). It implied that the preschoolerreconstructed traditional play activitie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ir peer interac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유아가 재구성한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강원도 홍천군에 소재한 N초등학교병설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46명으로 실험집단 23명, 통제집단 23명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유아가 재구성한 전통놀이 활동은 사회적 능력의 하위요인 중 유아의 협동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는 유아가 재구성한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협동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유아가 재구성한 전통놀이 활동은 유아의 타인 이해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이는 유아가 재구성한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타인 이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유아가 재구성한 전통놀이 활동은 유아의 자율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이는 유아가 재구성한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자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유아가 재구성한 전통놀이 활동은 유아의 또래 간 상호작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는 유아가 재구성한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또래 간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유아가 재구성한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