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사연수에서 SNS를 이용한 협력성찰활동의 효과

원문정보

Effective of Collaborative Reflection based on SNS in Teacher Training

김상홍, 한선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a strategy of cooperation activities was conducted to analyze on the impact of what effect appears in teacher training. We classified with satisfaction, effectiveness and academic achievement as effects of teacher training. W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at are cooperative-reflection activity group using the SNS, self-reflection activity group and general training group. Depending on the type of reflection activity, we have one-way ANOVA analysis for the effectiveness of teacher training. B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that cooperative reflection activity group were more an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f training. Accordingly, we have found the SNS-based collaborative reflection activity is very effective in teacher training.

한국어

본 연구는 협력 활동의 전략이 교사연수에서 어떤 효과가 나타나는지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교사 연수의 효과성은 연수 만족도, 효과성, 학업성취도로 설정하였다. 연수에 참가한 초중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SNS를 활용한 집단 상호평가 활동군과 개별 자기평가 활동군, 일반 연수군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적용하였다. 완전무선화요인설계의 방법으로 교사 연수의 효과성에 대해 변량 분석한 결과, 집단협력 활동이 학습만족도 및 효과성,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SNS기반 협력적 평가활동이 교사연수에 매우 효과적임을 밝혔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SNS의 교육적 활용과 자기평가
  2.2 선행연구 분석
 3. 연구 내용 및 방법
  3.1 연구 내용
  3.2 연구 대상과 설계
  3.3 연구 도구
  3.4 연구 절차 및 자료처리
 4. 연구 결과
  4.1 정보소양 능력에 따른 학업성취도 공변량 분석
  4.2 학습 만족도에 관한 분석 결과
  4.3 학습 효과성에 관한 분석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상홍 Sanghong Kim. 경인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한선관 Seonkwan Han. 경인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