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식품안전규제정책에 대한 소비자인식, 대응행동 및 만족도의 관계 : 유전자재조합식품 표시규제와 식품리콜규제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Consumers’ Awareness, Coping Behavior, and Satisfaction on Food Safety Regulation : The Case of GMO Food and Food Recall System

유현정, 양혜경, 전상민, 천혜정, 박성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consumers' awareness, coping behavior, and satisfaction on food safety regulation, specifically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food and food recall system. The data came from 400 consumers between 20s and 50s living in Seoul, Kyonggi, and Incheon area. Key findings of the study were (a) the overall food risk perception and food safety behavior average mark of respondents were 3.60 and 3.62, respectively. The respond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indifferent group, give-up group, preparation group, and sensitive group-based on median scores of food risk perception and food safety behavior. Preparation group, and sensitive group were different from indifferent group and give-up group in awareness, behavior, and satisfaction on food safety regulation. (b) In the case of GMO food, consumers' awareness on regulation was shown to influence consumers' coping behavior while consumer's awareness and coping behavior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satisfaction on regulation. (c) In the case of food recall system, consumers' awareness on regulation was shown to influence consumers' coping behavior while consumer's awareness and coping behavior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satisfaction on regulation. (d) The respondents agreed that stronger regulations were required. The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한국소비자들이 현재 식품안전규제정책의 구체적인 내용을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는지, 어떠한 대응행동을 하는지, 그리고 식품안전규제정책에 대해 어느 정도 만족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유전자재조합식품 및 식품리콜제도 규제내용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 정도, 대응행동, 그리고 각 규제정책에 대한 만족도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서울/경기/인천지역에 거주하는 20대부터 50대까지의 성인소비자 400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들의 안전성향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식품안전에 대한 위험지각과 식품안전 추구행동을 살펴본 결과 보통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식품 위험지각과 안전추구행동의 중위값을 기준으로 소비자집단을 유형화한 결과 무관심집단, 포기집단, 대비집단, 민감대응집단의 4개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각 유형별 식품 규제 인식도, 대응행동, 그리고 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GMO 식품 규제 인식도는 규제대응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규제인식도가 규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규제대응행동이 규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식품리콜 규제인식도는 규제대응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규제인식도가 규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규제대응행동이 규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GMO식품표시에 대한 규제강화 및 식품리콜에 대한 규제강화에 대한 동의 수준을 살펴본 결과, 두 규제에 대해 강화하는 것에 보통 수준 이상으로 동의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식품안전규제정책에 대한 합리적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식품안전 관련 법률 및 규제 내용
  1. 식품안전관련 법률
  2. 식품 안전 규제 관련 이슈 및 논점
 Ⅲ. 연구방법
  1. 연구문제 및 연구가설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 측정도구
  4. 자료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식품위험지각 및 식품안전추구행동
  2. 구조모형 분석
  3. 식품안전 규제강화에 대한 소비자 인식 수준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유현정 Yoo, Hyun-Jung. 충북대학교 소비자학과 교수
  • 양혜경 Yang, Hae Kyung. 건국대학교 소비자정보학과 부교수
  • 전상민 Jun, Sangmin. 호서대학교 산업심리학과 조교수
  • 천혜정 Cheon, Hyejung. 이화여자대학교 소비자학과 교수
  • 박성진 Park, Sungjin. (주)농심 상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