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다문화사회를 위한 유아기 다문화교육에 관한 연구 : 유아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for the Multicultural Society : Focus on the Improv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오영훈, 방현희, 박미희

한국효학회 효학연구 제21호 2015.06 pp.137-156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may have begun to increase in migrant workers and marriage immigrants. unlike the other countries. In addition, South Korea has the influx of refugees distinctive types of family, unlike other countries.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s necessary for immediate socialstability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this situation, the infant multicultural education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as the future of education for a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In this study, we have research which interviews with infant teachers who they are in charge of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actually. In this study, we have research which interviews with infant teachers who they are in charge of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actually. According to the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kindergarten teachers. Second,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public program. Third,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of children, it must be priority education of understanding for multicultural families than education of globalization. Finally, there is a need to identify and improvement the problem for the current multicultural education, in multilateral terms, continued.

한국어

한국의 다문화사회는 이주노동자와 결혼이주자의 증가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 더하여 한국은 다른 나라들과는 달리 탈북자 가정의 유입이라는 특징을 안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다문화가정들의 조속한 사회적 안정을 위하여 다문화교육이 요구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 다문화사회를 위한 미래교육인 유아 다문화교육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를 책임지고 있는 유아교사들의 다문화역량 및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근무하며 실질적으로 유아 다문화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과의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유아교사들과의 인터뷰 내용은 유아기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유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유아 다문화교육 교재에 대한 인식으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유아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현행 다문화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교사들에 대한 다문화교육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둘째, 유아기관에서 공유할 수 있는 공공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셋째, 유아의 다문화교육을 위해서는 세계화교육보다 주변의 다문화가족에 대한 이해 교육이 우선되어야 하겠다. 마지막으로, 현재의 다문화교육에 대하여 다각적인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할 필요가 있다.

목차

< 요약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유아기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2. 유아교사의 역할과 다문화역량
  3. 선행연구
 Ⅲ. 연구내용 및 방법
 Ⅳ. 연구 결과
  1. 유아기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2. 유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3. 유아 다문화교육 교재에 대한 인식
  4. 유아 다문화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 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오영훈 Oh, Young Hun.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다문화교육 전공 교수
  • 방현희 Bang, Hyun Hee.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다문화교육 박사과정
  • 박미희 Park, Mi Hee.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다문화교육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