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다산의 『書經』인식

원문정보

Dasan Cheong Yagyong's perspectives on The Shoo King([書經])

다산의 『서경』인식

임헌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discusses Dasan Cheong Yagyong(1762-1836)'s perspectives on The Book of historical documents(󰡔書經󰡕). Dasan Cheong Yagyong considered The Shoo King as The Book of historical documents presented Ideas of Confucian Politics in ancient China. Many Scholar and Kings dispersed and re-edition The Shoo King as historical documents. Dasan Cheong Yagyong analyzed, de-constructed, and reinterpretations documents of dominant The Shoo King. Dasan Cheong Yagyong tried to recover the original documents The Shoo King. Dasan Cheong Yagyong collected dispersed material of The Shoo King, and complied the original documents. Dasan Cheong Yagyong wrote four book of The Shoo King. Dasan want to reconstruct the new theory by these reinterpretations of The Book of historical documents presented Ideas of Confucian Politics in ancient China, and to open new era.

한국어

이 논문은 한국의 대표적인 경학자인 茶山 丁若鏞(1762-1836)의 『서경』인식을 고찰,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산의 과제는 堯舜-周公-孔子之道라고 하는 본원유학의 원형과 정신을 復命하고, 그를 통해 질곡된 현실을 극복하는 데에 있었고, 그의 『서경』에 대한 관심과 해석 역시 여기에서 유래한다고 할 수 있다. 육서오경에 대한 방대한 식견과 청나라의 고증학적 경향, 심지어 일본의 유학연구에도 정통했던 다산은 『서경』에 대한 단순한 의문제기를 넘어, 체계 전반을 문제로 삼았다. 그래서 그는 후대 위작으로 간주된 古文의 유출경위를 증명하고, 방대한 자료를 검토하여 원 자료의 수집과 채록을 통해 『서경』의 본모습을 회복하려고 시도했다. 이 글은 다산의 이러한 시도에서 드러난 『서경』에 대한 인식과 그 특징을 제시하려고 했다. 이를 위해 우선 『서경』이란 어떤 책이며, 왜 다른 어떤 경전보다 유독 판본과 진위 문제가 항상 발생하였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그런 다음 다산의 『서경』연구과정을 서술하고, 거기서 나타난 다산의 관점과 특징을 대표작인 『매씨서평󰡕 및 그 뒤의 저술들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다산은 『서경』을 정치의 표준이 제시되어 있는 옛 성인의 정사를 알려주는 역사책으로 이해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표준을 제대로 알아 소통하기만 하면 곧바로 현실에 응용하여, 적용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그런데 그는『서경』을 알기 위해서는 당연히 자구에 대한 訓詁가 우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자구에 대한 훈고를 이루려 하면 우선 經文이 정립되어 있어야 하는데, 『서경』은 殘缺이 가장 많은 경전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그는 당시 통행되고 있던 『상서』 중에서 후대에 위조된 부분을 변별한 다음, 그 본 모습을 회복하려고 시도한다. 다산이 회복하려고 했던 원형 『상서』란 공자가 직접 산정하고 序를 썼다고 말한 100편(「虞書」20편, 「夏書」40편, 「周書」40편)이었다. 그러나 그는 공자가 편집했던 『상서』 100편의 원형회복이란 진본이 망실되었기 때문에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판단했다. 그래서 그는 우선 방대한 문헌적 지식을 원용하여 한대 이전의 경전 가운데 신뢰할 수 있는 것을 채록⋅배열한 다음 여러 학설을 모으고(『尙書古訓蒐略』), 수집된 고훈들의 同異를 대비하면서 자신의 의견을 덧붙여(『尙書知遠錄』) 합본한다(『尙書古訓』) 다산은 이런 시도의 목표는 『상서』를 해석하기 보다는 옛 원형을 보존하여(存古), 『상서』의 본래 모습 혹은 大體을 알게 해 주는 단서를 제시하려는 것이었다.

목차

논문 요약
 Ⅰ. 서론
 Ⅱ. 『서경』의 판본문제와 다산
 Ⅲ. 다산의 『서경』연구와 그 인식
 Ⅵ. 요약과 평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헌규 Lim, Heon-gyu. 강남대학교 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