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 교과내용학 >>

조선의 인성교육 범례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aradigms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in the Chosen Dynasty

김용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 paradigms and tasks in the personality education in the Chosen dynasty. we can find three paradigms, such as ‘immanent immanence’ paradigm of Toegye, ‘transcendental transcendence’ paradigm of Dasan and ‘transcendental immanence’ paradigm of Suwun. First, personality education of Toegye(退溪, 1501-1570) focuses on ‘watching on mind and cultivation of nature(存心性養)’ Toegye had tried to combine the centrality of the individual in the inner as ‘li(理)’ with cosmic dwelling principle as ‘heavenly divine command(天命)’ He made practical tasks as ‘dwelling in reverence(居敬)’ free from the mundane desires and ‘continuos pursuit of principle(窮理).’ Second, personality education of Dasan(茶山, 1762-1836) focuses on ‘watching his actions in silence(愼獨)’ and the ‘worship of Heaven(事天)’, paradigm of transcendental transcendence. Dasan suggests the concept of ‘SangJae(上帝)’ as the foundation of human moral autonomy and free will. Dasan’s thought on SangJae does not concur with the Christian concept of God or Confucian God of Early Qin period(先秦). Human moral actions are taken under an ‘autonomic right of choice(權衡).’ Human moral actions are neither innate nor pre-determined, but based on ‘the exercise to practice the decision act(行事).’ He emphasizes ‘the spiritual bright nature(靈明性)’ to be the personality of mind. Third, personality education of Suwun(水雲, 1824-1864) focuses on ‘keeping good mind and having right energy(守心正氣)’ and the paradigm of transcendental immanence. The ‘spiritual amulet and holy mantra(靈符呪文)’ is the tasks of personality education. This practice had resulted in the building of a community to cultivate humanity towards creating a new type of human consciousness and corresponding to new forms of Great Transformation.

한국어

인성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인격 형성’을 위하는 수양을 ‘공부(工夫)’라고 한다. 인성교육은 범례에 합당한 처방을 요구하고 그에 상응하는 실천과제를 의무화하는 교육이다. 올해부터 인성교육을 의무로 규정한 세계 최초의 ‘인성교육진흥법’을 실시한다. 인성교육은 성품을 궁극적 실재와 연동시켜 어떤 시각으로 접근하느냐에 따라 그 범례가 달라진다. 먼저 퇴계의 인성교육은 궁극실재를 내재적으로 상정하고 향내(向內) 덕성접근의 ‘내재의 내재’ 범례로서 ‘존심성양(存心性養)’ 처방에 따라 거경궁리(居敬窮理)의 실천과제를 제시한다. 퇴계는 존심양성 처방에 내재의 ‘이(理)’를 실천의 ‘선(善)’에 접목하는 ‘거경궁리(居敬窮理)’ 과제로 탁한 기운(氣運)을 정화시키려고 노력한다. 또한 다산의 인성교육은 궁극실재를 초월적으로 상정하고 향외(向外) 덕행접근의 ‘초월의 초월’ 범례로서 ‘신독사천(愼獨事天)’ 처방으로, 권형행사(權衡行事)를 실천과제로 표방한다. 다산에게 신독은 고요히 자신의 행위를 성찰하고 양심을 작동시키고자 ‘상제 섬김’의 사천(事天)을 요체로 한다. 천명지성을 수용하는 권형(權衡)과 선택적 결단을 실천하는 행사(行事) 중시의 인성교육이다. 그리고 수운의 인성교육은 궁극실재를 초월적으로 상정하지만 향내(向內) 덕성접근의 ‘초월의 내재’ 범례로서 ‘수심정기(守心正氣)’ 처방을 마련하고, 영부주문(靈符呪文)의 실천과제를 제시한다. 초월의 한울님을 심령 내재의 지기(至氣)로 체험하기 위한 ‘수심정기(守心正氣)’ 처방이 이루어져 심령기운을 수양한다. 이 처방은 ‘인의예지’의 내재 단서(端緖)로서, ‘화순(和順)’으로 한울님을 모시는 초월방편을 함께 집약한 영부주문(靈符呪文)을 일상의 덕성으로 실천하는 인성교육을 주문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퇴계의 ‘내재의 내재’ 범례
  1. 존심양성의 처방
  2. 거경궁리의 과제
 Ⅲ. 다산의 ‘초월의 초월’ 범례
  1. 신독사천의 처방
  2. 권형행사의 과제
 Ⅳ. 수운의 ‘초월의 내재’ 범례
  1. 수심정기의 처방
  2. 영부주문의 과제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용환 Kim, Yong-Hwan. 충북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