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상호문화성에 기반 한 문학 독서교육

원문정보

Literary Reading Education based on Interculturality

이준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has a purpose of searching the possibilities about ‘interculturality’ in the chapter of Literary Reading Education. For this, the application about the concept and text of interculturality was executed. This attempt can be seen as a work to achieve ecological conversion based on the purpose of sustainability education. The reason discussion about the continuous and reflective education purpose was proposed is in the thought that our social culture starts as a recognition that it is a dangerous society that constantly destroys sustainability, and also education discussion is not free compared with this. The ‘ecological conversion’ of culture and civilization aimed in this research has alternative characteristics about rationalism that ‘post- modernism’ dismantled. ‘Interculturality’ concept also overleaps the cultural pluralism encompassing mutual bargaining aspects to practical aspects. Thus, ‘postmodernism’ in this research has the characteristic of ‘bridgebuilder’ to attempt the ecological conversions and the postmodernism discussion shall not be the purpose. Through the detailed concept of Deleuze's ‘Agencement’, a new ecological culture of community that can play the role as a new ‘stirrup’ and also attempt a search about overseas literature that overleaps comparative literature though ‘interculturality’. With the start of respect about the difference and dissimilarity between individuals, this attempt is on explaining the identity that has culture of a small community, culture of a local community, and the culture of an ethnic group race. The ecological conversion made by these negotiations make a new meaning and circulation can be said to be the ultimate ecologically oriented education. Thus, the goal education set by intercultural education is as the following. First, the range of education set by intercultural education does not acknowledge the border that social education is school education. Secondly, ‘interculturality’ education is based on human, language, and the bargaining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 to seek for various positions from microscopic structure to macroscopic structure. Third, ‘interculturality’ education shall maintain identity of an ethnic group and nation, but also form an identity for bargaining and an identity for communication. Also, the logic of identity should be planned and evaluated based on the order of ecological connection apart from central logic, which is discussed in this thesis.

한국어

이 연구는 문학 독서교육의 장에서 ‘상호문화성’에 대한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호문화성의 개념과 텍스트에 대한 적용을 시도했다. 이러한 시도는 지속가능성 교육이라는 목표를 기반으로 생태적 전환을 이루기 위한 작업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지금-여기에서 지속적이고 성찰적인 교육 목적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는 이유는 우리의 사회문화가 지속가능성을 끊임없이 파괴하는 위험사회라는 인식에서 출발하고, 교육 논의 또한 이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생각에서이다. 이 연구에서 지향하는 문명, 문화의 ‘생태적 전환’은 ‘포트스모더니즘’이 해체한 이성 중심주의에 대한 대안적 성격을 다분히 가지고 있다. ‘상호문화성’ 개념 또한 문화적 다원주의를 뛰어넘어 문화의 상호교섭적인 측면과 실천적인 측면까지를 아우른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은 생태적 전환을 시도하기 위한 ‘다리 놓기’의 성격을 가지고 있고, 포스트모더니즘 논의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들뢰즈의 ‘아장스망’이라는 개념을 통해, 새로운 ‘등자’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생태적인 공동체 문화를 탐색하고, ‘상호문화성’을 통해 비교문학을 넘어 해외문학에 대한 탐색을 시도한다. 이는 개인 간의 차이와 다름에 대한 존중에서 출발하여 작은 공동체의 문화, 지역 사회의 문화, 그리고 한 민족의 문화가 가진 정체성을 설명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러한 교섭이 만들어 내는 생태적 전환이 새로운 의미를 만들고 순환하는 것이 궁극적으로 생태지향적 교육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상호문화교육이 설정하는 교육의 목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상호문화교육이 설정한 교육의 범주는 사회교육과 학교교육이라는 경계를 인정하지 않는다. 둘째, ‘상호문화성’ 교육은 인간과 언어, 환경의 교섭적인 특징을 바탕으로 미시적인 구조에서 거시적인 구조까지 다양한 포지션을 추구한다. 셋째, ‘상호문화성’ 교육은 민족과 국가라는 정체성을 유지하되, 교섭을 위한 정체성, 소통을 위한 정체성을 형성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정체성 논리는 중심의 논리를 떠나 생태적 연관의 질서에서 계획되고 평가되어야 한다는 점을 이 논문에서 논의했다.

목차

Abstract
 1. 포스트모더니즘의 ‘다리 놓기’
 2. ‘상호문화성’을 통한 생태적 전환의 가능성
 3. ‘탈춤’에 나타난 ‘상호문화성’
 4. 비교문학을 넘어 ‘상호문화성’으로 읽는 <설국>
 5. 상호문화성 교육의 지평
 참고문헌
 국문초록

저자정보

  • 이준영 Lee Joonyoung. 동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