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사 협력이 교사 만족에 미치는 효과 분석 : 혁신 학교와 일반 학교의 차이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ffect of Teacher Collaboration on Teacher Satisfaction in Innovative Schools

김혜진, 김혜영, 홍창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collaboration and teacher satisfaction in Innovative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using 2nd year data from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Hierarchical Linear Model was used for analysis.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eacher collaboration and school satisfaction in innovative schools were statistically higher than the one in general schools. Second, teacher collaboration was revealed to have no impact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Meanwhile, teacher’s school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eacher collaboration in both innovative and general schoo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novative schools might show positive performance in both in-school collaboration and satisfaction. Considering satisfaction may be connected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it could be proved that innovative schools are managed by their original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eacher collaboration on teacher satisfaction in innovative schools empirically. However, it still needs to perform the statistical analysis on schools in other provinces as well as the case study of individual schools in order to generalize its findings.

한국어

본 연구는 교사 간 협력 활동이 교사의 교직 만족이나 학교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혁신 학교와 일반 학교의 차이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로는 경기교육종단연구 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 방법으로는 위계적 선형 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 학교와 일반 학교의 교사 협력과 학교 만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혁신 학교가 일반 학교에 비해 교사 간 협력활동 및 학교 만족에 관해 상대적으로 높은 인식을 보여주고 있어, 혁신 학교가 본래의 취지와 목적에 적합한 성과를 거두고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교사 협력이 교직 만족에 미치는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지만, 학교 만족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혁신 학교와 일반 학교 모두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혁신 학교의 교사 협력이 교사 만족에 주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데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경기도 내 혁신 학교와 일반 학교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연구 결과의 일반화에는 한계가 있으며, 타 시·도에 위치한 혁신 학교와 일반 학교로 연구 대상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사 협력의 형태와 수준, 학습공동체 형성에 기여하는 점 등 교사 협력의 다양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개별 학교에 대한 미시적인 사례 연구를 통해 본 연구의 결과를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혁신학교
  2. 교사협력
  3. 교사만족
  4. 교사협력과 교사만족 간의 관계
 III.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분석 자료
  3. 변인 설명
 IV. 연구결과
  1.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교사협력, 교직만족, 학교만족의 차이
  2.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교사협력이 교직만족에 주는 영향
  3.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교사협력이 학교만족에 주는 영향
 V. 논의
 VI.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혜진 Kim, Hyejin. 부산대학교 교육학과 BK21플러스 사업단
  • 김혜영 Kim, Hyeyoung. 부산대학교 교육학과
  • 홍창남 Hong, Changnam. 부산대학교 교육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