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ssessing the Effect of Sunshine Loan’s Closer Inspection & Anti Fraud Detection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초록
영어
This study tests the effects of accident prevention on both closer inspection and anti fraud defection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PSM) and Sunshine loan. The matching results based on the closer inspection - unexamined inspection linkage show that the accident rates drop to reach 5.5% by the closer inspection. In particular, the matching results based on the anti fraud defection - unexamined inspection linkage show that the accident rates drop to reach 15.4% by the anti fraud defection. These results before and after PSM indicate that the controlling effect of the guarantee accident is significant[before: -2.8% vs. after 5.5%; the difference of accident rates = +8.3%]. Similarly, the difference of the anti fraud defection has a significant controlling effect on the guarantee accident[before: 2.1% vs. after 9.9%]. The authors discuss managerial insights for practitioners and provide future research directions.
한국어
최근 공공부문의 효과측정 연구를 중심으로 PSM 기법의 활용도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PSM 기법은 의학의 임상실험에서 활용되는 대표적인 연구방법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을 실험목적에 맞게 처리하여 효과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PSM을 공공부문에서는 지원 전·후 또는 지원집단과 지원하지 않은 집단 등을 비교하여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활용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반사실적 분석기법의 하나인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 기법과 햇살론을 이용한 근로자의 보증자료를 활용하여 정밀심사 및 부정대출방지심사의 사고방지 효과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정밀심사건과 미심사건의 성향점수 매칭결과, 정밀심사에 의해 5.5% 사고율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대출방지심사건과 미심사건의 성향점수 매칭결과는 부정대출방지심사에 의해 15.4% 사고율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향점수매칭 전·후를 비교하면 매칭 후 정밀심사의 사고율 차이는 5.5%로 매칭 전 -2.8% 대비 8.3%의 보증사고 억제효과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으며, 매칭 후 부정대출방지심사의 사고율 차이는 15.4%로 매칭 전 2.1% 대비 9.9% 보증사고 억제효과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일반금융기관과 마찬가지로 정책금융 기관에서도 정밀심사 및 부정대출방지심사는 도덕적 해이 및 대손율을 감소시키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정밀심사 및 부정대출방지심사의 효과측정에 대한 연구는 아주 의미 있다고 할 수 있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이론적 배경
2.1. 서민금융의 이해
2.2. 햇살론(근로자) 정밀심사 및 부정대출 방지심사 현황
2.3. Propensity Score Matching(성향점수매칭)
Ⅲ. 연구방법
3.1. 자료수집
3.2. 변수의 설정 및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4.1. 기초통계
4.2. 성향점수매칭 전·후 효과 비교
Ⅴ. 결론
5.1. 요약 및 시사점
5.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