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아트 친숙성과 아트-제품 적합성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소비자의 심미적 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Art Familarity and Product-Art Fitness on Consumers’ Reaction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Centrality of Visual Product Aesthetics

김지애, 김형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Until now, most of research conclude there is positive art effect on the consumer's perception and buying intention, art infusion effect. This implies that art infusion increase the product (functional/symbolic) value so, consumer like more the art infused products than the others and have more intention to buy the art infused ones. This research expanded the previous researches that verified the effects of artwork familiarity art-product fitness on the perceived functional and symbolic product value and the 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to these topics, this research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centrality of visual product aesthetics(hereafter CVPA). For this, we measured art familiarity and art-product fitness through experimental stimulus which is selected based on prior test. We select two products(tablet PC and cosmetics), one is functional and another is hedonic goods for generalization. The conclusions are these. First, it was identified that the more familiar artwork and the higher art-product fitness, consumer perceive the more functional and symbolic product values and they have the more purchase intention. This research investigated if the CVPA works as a moder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 familarity and fitness with consumer respons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an interaction effect with artproduct fitness and CVPA in symbolic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but not in functional value. The most interesting result in this research is there is negative interaction effect of CVPA on the familiarity and symbolic value purchase intention. That means when the company make use of artworks, they would better use novel and unique artworks than familiar ones because the consumer have high CVPA might not prefer familiar artworks to unfamiliar to show their symbolic status.

한국어

본 연구는 아트의 친숙도와 아트-제품 적합도의 효과가 소비자 반응(기능적 가치, 상징적 가 치,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 소비자의 특성의 하나인 심미적 성향(Centrality of Visual Product Aesthetics: CVPA)에 따라 소비자 반응이 어떤 차이를 보일 것인지에 대한 조절효과 를 중심으로 한 실증연구이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인퓨전된 아트의 친숙도가 높을수 록 소비자의 반응이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아트와 제품의 적합성이 높을수록 소비자의 반 응이 또한 긍정적이다. 본 연구의 중심 내용으로 아트 친숙성, 아트-제품 적합성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소비자의 심미적 성향의 조절 효과를 살펴본 결과 심미적 성향 이 높은 소비자에게 미치는 아트의 친숙성의 효과는 부정적이며 아트-제품 적합도가 미치는 영향은 심미적 성향의 수준에 따라 강화되는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1. 아트 친숙성에 따른 아트 인퓨전 효과 가설
  2. 아트-제품 적합성에 따른 아트 인퓨전 효과 가설
  3. 소비자 심미적 성향(CVPA)의 조절효과
 Ⅲ. 실증분석과 가설검증
  1. 제품과 아트 선택
  2. 연구대상과 실험 설계
  3. 구성개념의 측정과 신뢰성/타당성
  4. 연구 가설 검증
 VI. 결론 및 연구의 한계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지애 Kim, Jieh. 충남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석사
  • 김형준 Kim, Hyung Jun. 충남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