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이매방류 「승무」의 전승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ransmission of Lee, Mae Bang Style Seung-mu

문희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Seung-mu is considered as a historical product of Korea and this study on transmission of Lee, Mae Bang's buddhist dance, which contains representativeness and origin of Honam Gwonbeon line, is meaningful in the aspect of dance history. After abolition of gwangi(official gisaeng) system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Lee, Mae Bang began learning the Seung-mu from instructors who maintained their tradition in gwonbeon of Mokpo and Gwanju, and after independence and the Korean War, he wandered around Busan, Daegu, Gwangju until settling in Seoul. Born during the colonial era, while experiencing the history of national ordeals such as independence and the Korean War, he kept transmitting and preserving the Seung-mu based on Honam Gwonbeon line origin through performances and dance transmission, and in 1970s, his dances began gaining recognition and, after being designated as a holder of intangible cultural asset in 1987, he produced apprentices of Seung-mu. Turning out of apprentices such as traditional dancers and university professors served as a momentum for Lee, Mae Bang’s Seung-mu to be nationally invigorated, and his Seung-mu was learned in dance departments of universities to be disseminated to more people. The scope of Seung-mu transmission has been expanded through his appointment as a professor of the Dance Department in Yongin University in 1996 and launching of the Ubong Lee Mae Bang Dance Training Center in Mokpo in 2005. From designation as an artisan of Seung-mu until changing into honor holder in 2014, 128 apprentices were produced and transmission of Lee Mae Bang style buddhist dance is being continued. We suggest that for accurate transmission of Lee Mae Bang style Seung-mu, which is our precious intangible cultural asset, to the descendants of the future, more profound studies on new educational paradigms be implemented in order for good preservation and correct transmission of our intangible cultural asset.

한국어

승무는 우리나라의 역사적 산물로 볼 수 있으며 호남 권번 계열의 원형과 대표성을 띄는 이매방의 대표작 「승무」 전승에 관한 연구는 무용사학적 측면에서도 의미가 있는 연구이다. 일제강점기의 관기 제도 폐지 이후 목포와 광주 등의 권번에서 그 명맥을 유지하던 승무를 권번의 선생들에게 배우기 시작한 이매방은 광복과 6․25 전쟁을 거치며 부산, 대구, 광주 등을 떠돌아다니다 서울에 안착한다.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광복, 6․25 전쟁 등 민족의 수난사를 함께한 그의 생애에서도 이매방은 「승무」의 공연과 춤 전승을 통해 호남 권번 계열 원형의 「승무」 보존 및 전승을 수행하였다. 1970년대에 이르러 그의 춤이 인정받기 시작하였고 1987년 무형문화재 보유자로 지정된 후 많은 「승무」 이수자들이 배출되었다. 전통 무용가, 대학 교수 등의 승무 이수자 배출은 이매방의 「승무」가 전국적으로 활성화되는 계기로 이어졌으며, 대학교 무용학과 등의 수업에서 이매방류 「승무」가 교육되어 좀 더 많은 이들에게 보급되었으며 1996년 이매방의 용인대학교 무용학과 교수 임용과 2005년 목포 우봉 이매방 춤 전수관 개원으로 「승무」 교육은 그 전승 범위가 확장되었다. 1987년 「승무」 기능 보유자 지정 이후 2013년 명예 보유자로 변경되기까지 128명의 이매방류 「승무」 이수자가 배출되었고 현재까지도 이매방류 승무의 전승활동은 이어지고 있다. 미래의 후대들에게도 소중한 우리나라의 무형문화 유산인 「승무」가 올바르게 전승될 수 있도록 새로운 교육적 패러다임이 좀 더 심층적으로 연구되어야 한다. 그렇게 될 때 더 많은 우리나라 무형문화 유산이 올바르게 보존, 전승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Ⅰ.서론
 Ⅱ.조선 후기 「승무」의 형태
 Ⅲ.권번 춤 학습부터 문화재 지정까지
 Ⅳ.199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승무」전승 형태
 Ⅴ.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문희철 Moon, Hee-Cherl. 목포 우봉 전통춤 보존회 회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