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van Hiele의 단계적 교수법에 근거한 예비교사들의 수학 수업에서 탐구 활동의 활성화 방안 탐색

원문정보

Activation method of inquiry activity for students playing a leading role in teaching and learning by applying the van Hiele’s learning process by stages in undergraduate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s class

황석윤, 김익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is one of the fundamental issues that students in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should take a proactive role in school mathematics. Inquiry or discovery learning in school mathematics is the specific method for students to participate in lessons on their own initiative, which is supported by many scholars in mathematics education.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pre-service teachers’ perspectives of Inquiry or discovery learning by intensively analyzing information and guided orientation in teaching practice. From this, we find the direction of the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carrying out pre-service teachers’ role to help students to take a proactive role in school mathematics.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van Hiele의 단계적 교수법에 근거한 예비교사들의 수학 수업에서 학생들 을 지식 구성의 주체로 만드는 탐구 활동의 활성화 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예 비교사들의 수업 지도안과 수업 시연에서 van Hiele의 단계적 교수법의 정보 단계와 안내된 탐구단계에서의 교수・학습 상황을 분석한다. 이와 같은 교수・학습 상황에서 탐구학습 또는 발견학습의 활성화 가능성을 탐색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 삼각형의 외심과 내심을 두 도형 의 위치관계라는 개념구조 안에서 삼각형과 원의 위치관계를 출발점으로 설정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이 제안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 방법으로서 “사실1: 삼각형의 외접원은 유일하게 존 재한다.”와 “사실2: 삼각형의 내접원은 유일하게 존재한다.”는 두 가지 사실의 도입과 증명을 van Hiele의 단계적 교수법에 근거한 새로운 지도방법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및 연구 문제
 Ⅱ. 선행 연구의 고찰
  1. van Hiele의 사고 수준 이론과 단계적 교수법
  2. 탐구 또는 발견 학습
 Ⅲ. 연구 설계 및 방법
  1.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2. 수업 지도안 작성 및 분석
 Ⅳ. 연구 결과
  1. van Hiele의 단계적 교수법에 근거한 예비교사들의 수업 지도안과 수업시연 분석
  2. 우리나라와 미국 교과서의 비교 분석
  3. van Hiele의 단계적 교수법에 근거한 교수・학습 상황에서 탐구활동의 활성화 방안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저자정보

  • 황석윤 Hwang Seok-Yoon. 대구대학교 수학교육과
  • 김익표 Kim, Ik-Pyo. 대구대학교 수학교육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