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중학교 수학교육에서 보조학습 선택 과정과 결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원문정보

The effect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n the Process of Selecting Assisted-Learning in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허재은, 김홍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process of selecting, maintaining, and changing the method of learning mathematics by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perspective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order to help students to select a rational method of studying. For this purpose, we defined ‘assisted-learning’ as all kinds of education that education demanders receive to supplement their regular school studies. As results of the research, it was found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ith high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elected, maintained, and changed their assisted-learning based on their concrete decision and rational reasons regarding the effect of their learning process and assisted-learning to themselves. Second, the students with high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had tendency to be very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 than the students with low ability. Third, the students with high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felt the effect of assisted-learning on their learning mathematics, and felt the enhancement of their interest and confidence. Also, it is notable that the students selected ‘their own willingness to study’ as a major factor for the success of assisted-learning.

한국어

본 연구는 자기조절학습능력의 관점에서 중학생들의 수학 보조학습 선택, 유지, 변경 과정 과 그 효과를 분석하여 학생들이 합리적인 공부 방법을 선택하도록 돕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생들의 보조학습 선택, 유지, 변경 과정과 수업참여 적극성, 보조학습 성과로서 인지적, 정의적 영역의 변화를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은 학생들은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낮은 학생들에 비해 첫째, 본인의 학습 과정과 보조학습이 자 신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구체적으로 판단하고 합리적 근거로 보조학습을 선택, 유지, 변 경하였다. 둘째, 수업참여 적극성이 높고 내재적 동기에 의한 적극적 행동이 많았다. 셋째, 보조학습이 자신의 수학학습에 미친 영향을 구체적으로 느끼고 본인의 공부 방법에 확신이 있어 수학적 흥미와 자신감이 향상되었다고 느꼈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보조학습
  2. 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 Learning)
  3. 관련된 선행연구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1. 연구 대상
  2. 연구 방법
 IV. 연구결과 및 분석
  1.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학생의 보조학습 선택 과정에 미치는 영향 분석
  2.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학생의 수업참여 적극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3.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학생의 보조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저자정보

  • 허재은 Hur, Jae Eun. 신목중학교
  • 김홍찬 Kim, Hong Chan. 고려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