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discussed about the content that should be dealt with in narrative education through novel and film, using
Above all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education through novel and film was studied, and the activity in which the original novel and the dramatized film of
Because the 7th curricula and literature textbooks have not consider film as essential contents yet, a lot of learners have not been fully educated about the nature and principles of film and are having confusion whether the ultimate aim of this learning is scenario or film.
Therefore the film, the complete form of art, should be the main contents of literature education as well as a scenario, considering students' way of accepting those works. Also,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the contents are overemphasized only on 'story' should be reconsidered, and the contents about 'discourse' should be extended so that more profound education can be practiced.
To achieve more complete and effective education of narratives, it will be a good alternative to using both novel and film to manage the comparative activity of story and discourse.
한국어
이 논문은 〈서편제〉를 예로 삼아 소설과 영화를 통해 서사 교육을 할 때 필요한 교육 내용과 활동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소설과 영화를 통한 서사 교육의 위상을 알아보았고, 다음으로 〈서편제〉의 원작소설과 각색 영화를 이야기 측면과 담론 측면으로 나눠 비교하는 활동을 예시하였다. 그리고 나서 현행 교과서에서 〈서편제〉를 제재로 이뤄지고 있는 학습의 문제점을 지적하였고, 마지막으로 소설과 영화를 통한 서사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몇 가지 제시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과 문학 교과서는 아직까지 영화를 본격적으로 교육해야 할 내용으로 상정하지 못한 까닭에, 학습자들이 영화를 텍스트로 삼아 영 화의 본질과 소통 원리에 대해 배우지 못하고 지금과 같이 교육의 목표와 제재가 시나리오인지 영화인지가 불분명한 상태로 어정쩡하게 영화를 다루게 되었다. 이제는 학습자들의 작품 수용의 실제 맥락을 고려해서 시나리오뿐만 아 니라 예술의 완성 형태인 영화를 문학교육의 대상 텍스트로 삼아야 한다. 또한 학습의 내용과 활동이 지나치게 ‘이야기’ 에만 편중되어 있는 현재의 실정을 반성하고, ‘담론 에 대한 학습을 확대하여 보다 폭넓고 심화된 서사 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앞으로 보다 완전하고 효과적인 서사 교육을 위해서는 이 논문에서 보여준 예처럼 소설과 영화를 함께 활용하여 이야기 비교 활동과 담론 비교활동을 같이 전개하는 것이 하나의 좋은 대안이 될 것이다.
목차
2. 소설과 영화를 통한 서사 교육의 위상
2.1. 소설과 영화의 문학교육적 의의
2.2. 소설과 영화를 통한 서사 교육의 틀
3. 이야기 비교 활동
3.1. 인물
3.2. 시공간
3.3. 플롯
4. 담론 비교 활동
4.1. 서술 매체
4.2. 시점과 서술
5. 소설과 영화를 통한 서사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
5.1. < 서편제 >를 통해 본 문학 교과서의 영화 수용의 문제점
5.2. 소설과 영화를 통한 서사 교육의 방향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