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학생의 운동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및 행복감의 관계

원문정보

The Relationship of Physical Self-Concept, Ego Resilience, and Happiness based on Exercise Particip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박문현, 정구인, 서연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analyzing causal relations empirically of the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happiness based on exercise particip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the subjects were male and female students from 4 elementary schools of Gyeonggi-province in 2014. A convenience sampling was adopted in the study. 100 students were extracted from 2 schools and the total sample was 350. Questionnaires with no replies or untrustworthy ones were excluded from the returned 350 copies and the final data analysis was from the remaining 329 questionnaires. The study questionnaire was used PSDQ, ego-resilience scale and happiness scale. The survey tool for data collection, based on the questions that had been employed in previous studies,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produced as follows: First, The 'four or more times a week' group showed a higher average in physical self-concept(without flexibility) than the other groups. The 'four or more times a week' group also showed a higher average in ego-resilience(without emotional control). And the 'four or more times a week' group also showed a higher average in happiness(without home environment) than the other groups. Second, The relations of factors(as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happiness) based on exercise participation. The relations of factors(as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happines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each other.

한국어

규칙적인 운동참여를 통한 신체적 자기개념의 긍정적인 형성과 높은 자아탄력성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 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경기도 Y시 초등학생 329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자료 처리는 운동참여에 따른 신 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행복감에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일원변량분석, 운동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행복감의 인과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운동 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행복감의 차이에서는 주당 ‘4회 이상’ 실시한 집단이 유연함을 제외 한 모든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고, 자아탄력성에서는 감정통제를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행복감에 서도 ‘4회 이상’ 집단이 가정환경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운동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 념, 자아탄력성, 행복감의 관계에서는 신체적 자기개념은 자아탄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신체적 자기개 념은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자아탄력성은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
  4. 자료처리
 Ⅲ. 결과
  1. 운동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행복감의 차이
  2. 운동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행복감의 관계
 Ⅳ. 논의
  1. 운동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행복감의 차이
  2. 운동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행복감의 관계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S

저자정보

  • 박문현 Park, Moon-Hyeon. 능원초등학교
  • 정구인 Jung, Koo-in. 한국교원대학교
  • 서연희 Seo, Yeon-Hee. 전북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