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purported to test the independent impacts of positive and negative attributes of disconfirmation on satisfaction and loyalty of university students. The study utilized the nation-wide survey data previously collected from 1,400 students distributed across 32 universities in Korea. Using SPSS 22.0, the study adopted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calculate the causal coefficients among positive and negative attributes of confirmation, satisfaction, and loyalty.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while positive disconfirmation had a positive impact(β=.188) on satisfaction, but not on loyalty, negative disconfirmation had negative impacts on satisfaction(β=-.326) and loyalty(β=-.105).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universities should implement differential strategies to increase students' satisfaction and loyalty.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negative disconfirmation had 2〜7 times greater impacts on satisfaction and loyalty than the impacts positive confirmation had. Supporting the 'asymmetric relations' of positive and negative disconfirmation, the study suggests that universities should pay special attention to students' complaints.
한국어
본 연구는 기대불일치의 긍정적 속성과 부정적 속성이 대학생의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국 32개 대학의 학생 1,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대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 조사 연구’를 위해 수집된 설문자료에서 기대불일치와 관련된 부분을 발췌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 시 긍정적 불일치와 부정적 불일치가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경로지수를 산출하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불일치의 속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 불일치의 경우 정(+)의 영향(β=.188)을 미치는 반면, 부정적 불일치는 부(-)의 영향(β=-.326)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져 기대불일치이론을 지지하였다. 둘째, 불일치의 속성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부정적 불일치의 경우 유의미한 반면(β=-.105), 긍정적 불일치의 경우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결과는 불일치의 부정적 속성이 긍정적 속성에 비해 만족도와 충성도에 대해 2〜7배 정도 더 강력한 힘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학생의 만족도와 충성도는 교육성과의 지표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니지만 그 제고전략에 대해서는 별개의 차원에서 접근할 것을 제언하였다. 아울러 대학은 불일치의 부정적 요소의 가중적 파급효과를 고려하여 특히 학생들이 표출하는 불만 요소에 대해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할 것을 제안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기대불일치이론
2. 고객만족
3. 기대불일치와 만족도의 관계
4. 고객충성도
5. 기대불일치와 충성도의 관계
6. 고객만족과 충성도의 관계
7. 연구 모형
Ⅲ. 연구 방법
1. 조사 대상
2. 측정도구 및 자료 처리
Ⅳ. 분석 결과
1.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2. 가설 검정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