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한글 의궤문헌의 주석 유형과 물명 기록연구-『뎡니의궤』 ‘화셩셩역’의 註釋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Recording the Name of Thing and the Value of Uigwe Literature in Korean -Based on comment originated from Hwaseong-seongyeok of 『Dyeongni-Uigwe』-

옥영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aspect of name of the things in Korean collected in 『Dyeongni- Uigwe』’s ‘Hwasyeongsyeongyeok’ with the basis of content from Korean comment. We can notice its scarcity by the fact that Currently remained Uigwes in Korean are only 『Dyeongni-Uigwe』 and 『Jagyeongjeon-Jinjak- Jeongnye-Uigwe』. In particular, 『Dyeongni-Uigwe』 has great value in data for the study in name of the things in terms of its vast volume showing vivid shape of the court language in the 18th century. The comment of 『Dyeongni-Uigwe』 is very distinctive in technological aspect of Uigwe's, describing various fusibility. The most frequent cases out of the whole contents are to interpret the meaning literally. In addition, With the comment to explain metaphorical expression and the interpretation of onomatopoeic words or mimetic words, The source of citation is suggested with documentary records or old practice. Interpreting the meaning literally is expected to help the study on the name of thing because we can still confirm a notation of them in the content interpreted. Due to its nature in recording, Uigwe is written in a variety of technical terms difficult for female to use in daily contact. Therefore, Han-geul version was written especially for them but Korean annotation of Chinese classics seems not to be enough to make them understood. Along with modification of the existing system, There seemed to be a change in format and content on transcriptional modification of original record. Furthermore, Korean annotation of Chinese classics should have included additional explanation through more detailed annotation. Also in the manner of describing record, Transformation of the original documentary such as addition, omission, summary etc… are shown in many ways in comparison to documentary in chinese. The same is true in the comment. Hangul as narrative language seems to be a great cause. In other words, As a vocabulary which can be conveyed easily in Chinese character, is transcribed in Korean, Its meaning can be obscure or strange to understand. To compensate on this problem, The comment served as useful device to correct this error. The closer study of name of the thing contained in Uigwe in Korean will enable us to step further beyond 『Dyeongni-Uigwe』 and help us to make up the deficiency with profound and diverse contents.

한국어

이 연구는 『뎡니의궤』의 ‘화셩셩역’에 수록된 한글 물명의 양상을 한글 주석의 내용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 고자 한 것이다. 현재 남아있는 한글본 의궤는 『뎡니의궤』와 『경뎐진쟉졍례의궤』 뿐이라는 점에서 그 희소성이 있으며, 특히 『뎡니의궤』는 18세기 궁중언어의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방대한 자료라는 점에 서 물명 연구에도 그 자료적 가치가 크다. 『뎡니의궤』의 주석은 의궤의 기술방식 측면에서도 매우 특징적인 것으로 그 용도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 다. 『뎡니의궤』 전체에 내용에서 가장 빈번한 것은 뜻을 문자 그대로 풀이한 경우이다. 이외에도 은유적인 표현을 설명하기 위한 주석과 의성어나 의태어를 풀이한 경우, 인용의 전거를 문헌이나 故事로 제시하는 경우 가 있다. 뜻을 문자 그대로 풀이한 경우에는 풀이한 내용에서도 물명의 표기를 확인할 수가 있기 때문에 물명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의궤는 그 기록의 특성상 여성들이 일상에서 접하기 힘든 각종 전문 용어들이 사용된다. 따라서 이들을 위해 서 한글본으로 특별히 작성했으나 단순히 언해만으로는 부족했다고 보인다. 이는 기존체제의 변형뿐만 아니 라 원시기록물의 전사과정에서 그 형식과 내용이 변형되고, 또 언해에도 각종 주석을 통해 부연 설명할 필요 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기록물의 기술 방식에 있어서도 추가, 생략, 요약 등 원시기록물의 변형이 한문본에 비해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주석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는 서사 언어가 한글이라는 점이 큰 원 인으로 보인다. 즉 한자어로써 쉽게 의미가 전달될 수 있는 어휘가 한글로 그 음이 표기되면서 의미가 모호해 지거나 오히려 생소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주석은 매우 유용한 장치로 사용되 었다. 한글 의궤에 수록된 물명을 살피는 것은 현재까지 『뎡니의궤』의 소개에서 그쳤던 연구에서 한걸음 나아가 깊이 있으면서도 좀 더 다양한 내용을 갖추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요약
 1. 서언
 2. 한글 의궤문헌 『뎡니의궤』의 개괄과 연구성과
 3. 『뎡니의궤』의 한글註釋과 그 유형
 4. ‘화셩셩역’ 물명과 그 예
 5. 결언
 참고문헌
 <부록> 화셩셩역의 한글주석과 그 내용
 Abstract

저자정보

  • 옥영정 Ok Young-jung.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문헌관리학전공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