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미장센과 몽타주의 기호학적 통합 - 계열체적 시스템과 통합체적 과정으로서 영화

원문정보

Semiotic synthesis in mise-en-scéne and montage - A film as paradigmatic system and syntagmatic process

권승태

한국영상문화학회 영상문화 제25호 2014.12 pp.147-170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designed to look into the possibility ofJean-Marie Floch’s Visual Identity as a film analysis toolwhich combines expression and contents, or temporalityand spatiality. This academic attempt will suggest thepossibility to explore the objective signification that afilm manifests after regarding the film as a sign andanalyzing its whole and parts syntagmatically. Floch’svisual identity not only covers the still image but alsothe story's linear unfolding. A film editing needs aspatial composition, mise-en-scéne in parallel with atemporal combination, montage. Therefore, his visualidentity is regarded as a proper film analysis tool in thatit can treat temporality of a narrative and spatiality ofan image at the same time. And the visual identity looksinto dual dimension of paradigm and syntagm. Thispaper analyzes the visual identity and the narrativeidentity of the film (2010) using thetwo axes of system and process and infers the messageof the film. The film’s narrative identity is that theprotagonist delivers self-preservation after breaking withhis negative characters. The film’s visual identities are heavy color, abnormal composition, uneasy rhythm. Thefilm’s message is the value-recovery aboutunconsciousness and nature. As a result, the filmsignifies that this classical film also delivers theself-preservation after breaking with the existing visualstyle of the classical film and innovating the visualidentity with the existing style of the modern film.

한국어

본 연구는 장마리 플로슈의 시각 정체성을 영화의 표현과 내용,공간성과 시간성을 통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도구로서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시도는 영화를 복잡한 기호로 간주하고그 기호의 전체와 부분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기호 자체가 현현하는 의미를 객관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할 것이다. 그의 시각 정체성은 정지된 이미지뿐만 아니라 시간 속에 흐르는서사를 다루므로 서사와 이미지가 통합되어 있는 영화를 분석하는 데 적절한 방식으로 여겨진다. 또한 시각 정체성 개념은 미장센을 계열체적 시스템으로, 몽타주를 통합체적 과정으로 분석하여영화의 시각적 정체성을 정의하고 영화가 스스로 진술하는 내용을 도출한다. 본 논문은 톰 후퍼 감독의 영화 <킹스 스피치 (TheKing’s Speech)>(2010)의 시각 정체성과 서사 정체성을 분석한다. 이 영화의 서사 정체성은 주인공이 과거의 자신과 단절하고스스로 성장하여 자기보존을 이루는 것이고 시각 정체성은 무거운 색, 비정상적인 구도, 불안한 리듬이고 진술하는 가치는 무의식과 자연적 가치의 회복이다. 결과적으로 이 고전영화는 기존 고전영화의 시각적 스타일과 단절하고 정체성을 현대영화 스타일로혁신하여 자기보존을 이룬다는 의미를 띤다.

목차

서론
 1. 서사 정체성: 서사구조와 캐릭터
 2. 계열체적 시스템: 미장센
 3. 미장센과 몽타주의 통합: 시각적 표현
 4. 진술하는 메시지
 결론
 참고문헌
 <사진 출처>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권승태 Seungtae KWON. 고려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