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주지역 목곽묘의 변천과정과 성격 검토

원문정보

A changing process and review on character of the wooden chamber tombs in Kyoungju region

최수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tudy is for tracing the mutational process, considering on historical change process of wooden chamber tombs in Kyoungju region during 2~6 century. In addition, class features and the meaning of tombs were studied. Thus, with the result, the foundation of the characters and the change in Shila were built. First of all, the wooden chamber tombs were classified into 10 different styles(1A~ⅣC), based on the filling materials, the ways of structure, and the structure of burial chamber. In terms of the transformational process of the wooden chamber tombs, it appeared in Hwangsungdong relics on the north parts and Joyangdong relics on the south parts in the late 2C. All of them were single chamber style A. Moreover, styleⅠ which uses only the soil for filling and styleⅢ which uses the partial stone for filling were identified. However, the styleⅢ were only found in Hwangsungdong relics. ⅠB·ⅢB·ⅠC style-burial tombs were found in Hwangsungdong and Dukcheonri relics for the first time, and they were widely used in 4C. Those kinds of tombs were considered the high level of classes when considered the limited number of the tombs, the size, the constitution of relics. After 4C in Kyoungju, the wooden chamber tombs were generally built. At the late 4C, style Ⅳ which uses filling stone in square girth for filling appeared in Sabangri on the north parts and Kuori-old burial mounds on the east-south parts. In the early 5C, style Ⅳ was used in the central parts of tombs. The style Ⅳ spread throughout the middle-large sized tombs in early 5C, and the small sized ones in the mid to late 5C. Especially, style Ⅳ and style ⅣC using two pit-main & assistant chamber were considered the highest class in the period. After the late 5C, single chamber styles which is style A of middle-small size tombs were found, and the wooden chamber tombs disappeared.

한국어

본 연구는 경주지역에서 확인되는 2∼6세기 목곽묘의 계기적인 변천양상을 총체적으로 고려하면서 그 전 환과정을 추적하고자 하였다. 이는 신라사회의 성격과 변화상을 이해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우선 경주지역 목곽묘는 충전재료 및 방법, 묘곽 형태라는 대전제의 상호 조합에 근거하여 ⅠA∼ⅣC까지 총 10개의 유형으로 설정된다. 이러한 경주지역 목곽묘의 변천양상에 대해 살펴보면, 2세기 후엽 북부권 역의 황성동유적과 동남부권역의 조양동유적에서 처음으로 출현하며, 모두 단곽식인 A형만 확인된다. 또 한 순수 흙 충전방식인 Ⅰ형과 부분 석재 충전방식인 Ⅲ형이 같이 확인되며, Ⅲ형의 형태는 황성동유적에 만 국한되는 특징을 보인다. 주·부곽식인 ⅠB·ⅢB·ⅠC유형 목곽묘는 3세기 말 황성동과 덕천리유적에서 처음으로 확인되며, 4세기 이후 널리 축조된다. 이러한 유형의 목곽묘는 한정된 수량, 규모, 유물 구성 등 으로 볼 때 집단 내 상위계층으로 판단된다. 경주지역에서 목곽묘는 4세기 이후에 본격적으로 축조되기 시작한다. 4세기 후엽에는 사주식 석재 충전 방식인 Ⅳ형이 북부권역의 사방리와 동남부권역의 구어리고분군에서 처음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5세기에 접어들면서 Ⅳ형은 중심권역 내의 유적들에 주로 채용되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Ⅳ형은 5세기 전엽에는 중·대형, 5세기 중엽 이후에는 소형의 목곽묘로 확대된다. 특히 사주식 석재 충전방식인 Ⅳ형과 이혈 주· 부곽식인 C형이 결합된 ⅣC유형의 목곽묘는 이 시기의 최상위계층으로 판단된다. 5세기 후엽 이후에는 단곽식인 중·소형의 A형 목곽묘만 확인되며, 목곽묘는 점차 소멸 단계에 접어드는 것으로 파악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연구 경향과 유적 현황
  1. 연구 경향과 방법
  2. 범주 설정과 유적 현황
 Ⅲ. 유적의 편년과 유형 설정
  1. 유적의 편년
  2. 속성 분류
  3. 유형 설정
 Ⅳ. 경주지역 목곽묘의 변천양상
  1. 시간적 변천양상
  2. 공간적 변천양상
 Ⅴ. 경주지역 목곽묘의 성격 검토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수형 Su-hyoung Choi. (재)울산문화재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