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s of Market Making on Price Discovery and Liquidity in Treasury Bond Markets
초록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국채시장에서의 시장조성자인 PD가 국채의 가격발견기능에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 그리 고 외국에 비해 강한 시장조성 의무가 국채시장의 유동성 공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하여 최 근 PD에 대한 시장조성의무 강화 조치 전후의 기간을 대상으로 분석하고 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 이 요약된다. 우선 유동성을 보면 PD에 대한 시장조성의무가 강화된 이후 거래량, 거래건수, 호가 스 프레드, 호가잔량, market quality index 등이 대폭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과거 장외에서 거 래를 확정하고 형식적으로 거래를 체결하던 관행이 시장조성의무 강화 이후 거의 사라졌다. 또한 시장 참여자 측면에서 비PD의 거래가 증가하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스프레드의 일 중패턴을 분석한 결과 일중 패턴이 ‘W’ 모양에서 ‘凸’에 가깝게 바뀐 것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이는 장 개장 및 종료시점의 유동성이 상당히 제고되었음을 시사한다. 한편, PD와 비PD가 직면하는 역선택・ 재고비용 추정치인 λ를 비교하면 전반적으로 PD 쪽이 비PD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 PD의 거래가 정보 를 담고 있으며 가격발견에 주도적인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거래규모별로 구분하여 분석하면 거 래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λ가 증가하는 패턴을 보여 거래규모가 커질수록 정보거래일 확률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PD가 제출한 대규모 거래의 경우, 비PD의 대규모 거래보다 λ값이 작아 비 PD가 제출한 대규모거래가 상대적으로 많은 정보를 담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우선 그 동안 많이 알려지지 않았던 국내 국채시장의 미시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는 면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시장조성자의 정보거래 여부와 관련하여 추가적인 증거를 제 시할 뿐만 아니라, 제도변경의 효과를 분석함으로서 시장조성활동과 정보투자 사이의 관계를 기존연구 보다 더 동적으로 고찰했다는 면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아울러 시장조성 활동과 시장의 질 사 이의 관계는 실무적으로도 큰 의미를 지닌다. 채권시장을 발전시키기 위해 정부가 주도하는 것이 바람 직한지, 아니면 시장의 자율에 맡기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해서는 어느 쪽이 정답이라고 단언할 수 없으나, 본 연구는 단기간에 국채시장을 성장시키기 위해서 정부주도의 발전전략이 바람직할 수 있다 는 사례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개도국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목차
1. 서론
2. 국채전문유통시장 및 PD제도 개요
2.1. 국채전문유통시장 개요
2.2. PD제도 개요
2.3. 해외 주요국의 PD제도 및 국내 PD제도의 특징
3. 자료 및 추정방법
3.1. 분석자료
3.2. 추정방법
4. 실증분석 결과
4.1. 시장조성활동 강화조치와 유동성
4.2. PD의 정보거래 참여
5.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