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리콜의 자발성 여부와 공개 방식에 대한 소비자 신뢰도와 구매의도 - 제품 유형과 소비자 사회인구적 특성의 상호작용효과 -

원문정보

Consumers' Confidence and Purchase Intentions for Product Recalls Based on Recall Spontaneity and Communication - Interaction Effects of Product Types and Consumers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

전상민, 최은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order to find successful product recalls for both consumers and businesses, this study tested the level differences of consumers’ confidence and purchase intentions for product recalls according to recall spontaneity and communication. We also tested the interaction effects of product types and consumers’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upon the consumers’ confidence and purchase intentions for product recalls. A web-based survey was conducted among 1,000 Korean consumers for car, industrial product, and food recalls. It was found that the levels of consumers' confidence and purchase intentions for spontaneous recalls are higher than that of mandatory recalls among all product types. The purchase intention levels for spontaneous recalls among the lowest income brackets is lower than that of higher income brackets. Additionally, the levels of consumers' confidence and purchase intentions for public recall communication is higher as compared to that of individual recall communication and closed recall communication. The levels of consumers' confidence and purchase intentions for food recalls is higher than that of car and industrial product recalls. People in their twenties have higher purchase intentions for individual and closed communications among industrial product recalls, and people in their forties and fifties have higher purchase intentions for public recall communications among all types of products than other age groups. Men have lower confidence levels on closed recall communications , but have higher confidence levels and purchase intentions on public recall communications than women among car recalls. Our results provide useful data for government agencies, businesses, and consumer education agencies on recall implementation plans which enhance the levels of confidence and purchase intentions for product recalls.

한국어

본 연구는 소비자와 기업 차원 모두에서 성공적인 리콜 시행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리콜의 자발성 여부와 리콜 공개 방식에 따른 소비자의 신뢰도와 구매의도 차이 및 리콜 대상 제품 유형과 소비자의 사회인구적 특성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동차와 공산품, 식품 리콜에 대하여 총 1,000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모든 제품 유형에 대하여 일관되게 자발적 리콜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와 구매의도가 강제적 리콜보다 높게 나타났고, 소득 최하위 소비자가 상위 소득 계층보다 자발적 리콜에 대한 구매의도가 낮았다. 공개 리콜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와 구매의도가 개별공개 리콜과 비공개 리콜보다 높았고, 식품의 개별공개 리콜과 비공개 리콜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와 구매의도가 자동차와 공산품의 경우보다 낮았다. 또한, 20대는 공산품의 개별공개 리콜과 비공개 리콜에 대한 구매의도가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고, 40대와 50대는 모든 제품 유형에서 공개 리콜에 대한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남성이 여성보다 자동차의 비공개 리콜에 대한 신뢰도가 낮고, 공개 리콜에 대한 신뢰도와 구매의도가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근거로 본 연구는 소비자의 신뢰도와 구매의도를 높일 수 있는 리콜 시행 방안을 제안하여 기업과 리콜 감독 정부기관, 그리고 소비자교육기관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1. 리콜의 자발성 여부에 따른 리콜 영향력 차이
  2. 리콜의 공개 방식에 따른 리콜 영향력 차이
  3. 제품 유형과 소비자 특성에 따른 리콜 영향력 차이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 연구문제
  2. 연구설계 및 자료수집절차
  3. 측정도구와 자료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리콜 자발성 여부에 따른 소비자 신뢰도와 구매의도 차이
  2. 리콜 공개 방식에 따른 소비자 신뢰도와 구매의도 차이
 Ⅴ. 논의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전상민 Sang Min Jun. 호서대학교 산업심리학과 조교수
  • 최은실 Eun Sill Choi. 소비자안전국 위해정보팀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