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등 신임교사의 직무 역량 요구도 분석

원문정보

A Needs Assessment Analysis of New Teacher’s Job Competence in Secondary School

정제영, 김갑성, 강태훈, 류성창, 윤홍주, 선미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needs assessment of new teacher’s job competence in secondary school. And so this study suggests new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ir job skills. 81 competencies of 10 areas were selected as secondary job skills of new teachers were conducted a survey of school teachers in Korea. As the result of survey, the priority of job competencies required of new teachers are student guidance and counseling, in conjunction with parents and the community in middle and high school mutually. For future competence of high school teachers, the actual problem solving skill, relationship skill, communication skill, collaboration skill, and conflict management skill appeared to be needed. This research concludes with practical suggestions like these; First, on-the-job training need to be strengthened for the expertise of new teachers. Second, in order to improve the professional competence of new teachers to adapt the school, there need to analyze the problem and situation of new teachers. Third, it is more important to change the school culture to help the new teachers. Fourth, there is a need to identify and spread a good new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model.

한국어

본 연구는 중등 신임교사에게 요구되는 직무 역량이 무엇인지, 어떤 직무 역량이 우선적으로 필요한지, 그리고 미래 관점에서 교사에게 요청되는 직무 역량이 무엇인지를 밝힘으로써 중등 신임교사들의 직무 역량 강화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신임교사 및 현직교사의 직무 역 량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최종적으로 10개 영역 81개 역량으로 중등 신임교사의 직무 역량 을 선정하여 전국의 중등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중학교와 고등학교 공히 신임교사들에게 요구되는 직무 역량의 우선순위는 생활지도 및 상담, 학부모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 역량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미래 관점에서 중등 신임교사에게 요구 되는 직무 역량은 중·고등학교 공통적으로 실제 문제해결력, 관계 형성 능력, 의사소통 능력, 공동 작업 능력, 갈등관리 능력으로 나타났다. 교직경력에 따라 중등 신임교사에게 요구되는 직무 역량 우선순위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급에 따라서는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신임교사의 전 문적 역량이 제고될 수 있도록 현직 교육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둘째, 신임교사의 전문적 역량 향상을 위해서는 학교에 입직하여 적응하는데 겪고 있는 문제에 대한 분석이 선행될 필요가 있 다. 셋째, 신임교사들이 학교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주변 동료교사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도움 을 줄 수 있는 학교 문화가 중요하다. 넷째, 신임교사의 안정적인 정착과 역량 향상을 위한 지원 들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 우수한 모델을 발굴하고 확산할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역량의 개념
  2. 신임교사의 직무 역량
  3. 미래의 교사 역량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2. 조사도구개발 및 구성
  3. 자료 분석
 Ⅳ. 연구 결과
  1. 중학교 신임교사의 직무 역량 요구 우선순위 분석
  2. 고등학교 신임교사의 직무 역량 요구 우선순위 분석
  3. 미래 관점에서 본 신임교사의 직무 역량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제영 Chung, Jae-Young.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 김갑성 Kim, Kap-Sung. 한국교원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 강태훈 Kang, Tae-Hoon. 성신여자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 류성창 Ryoo, Josh Sung-Chang. 국민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 윤홍주 Yun, Hong-Ju. 춘천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 선미숙 Sun, Mi-Suk.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