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맞춤법 교육 - 브라질 학교 교육의 도전 과제
초록
영어
In recent decades, Brazil has undergone major changes in basic education with teacher training and distribution of instructional materials programs. The results begin to appear in the public school development index in the country. Nevertheless, one aspect of learning continues excelled in research on the learning of the mother tongue: the inability to write according to the spelling rules. Over time, mastering spelling has become less common. Most of the students, particularly from public schools, have completed primary education without assimilating the spelling system. This paper analyzes spelling errors committed by students of the 1st year of high school, that should have been corrected in earlier grades, but that persist despite many years of schooling.
한국어
최근 수십 년간 브라질은 교사 연수, 지도 방식 및 프로그램에 있어서 큰 변화를 만들었고, 그 결과가 공립학교 발전 관련 지수들에 긍정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국어를 배우는 것과 관련해서는, 모국어를 맞춤법에 맞게 쓰는 능력이 부족하 다는 점이 연구 주제로 주목을 받고 있다. 갈수록 학생들의 철자 능력은 떨어지고 있다. 특히 상당수의 공립학교의 학생들이 철자법을 완전히 숙지하지 못한 채 초등학교를 마친다. 이번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이전에 이미 숙지되어야 했을 철자법을 틀리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오류를 분석한다.
목차
II. Ortografia: um desafio do nosso idioma
III. As expectativas do professores
IV. Aprender a escrever:um trabalho de reflexão sobre o sistema escrito
V. O registro escrito como objeto de análise
VI. O CORPUS
VII. A análise
VIII. CONSIDERAÇÕES FINAIS
Referências Bibliográficas
Abstract
국문요약
ANEX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