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Smart classrooms have been set up nationwide to utilize smart devices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knowledge- based society, As this trend might quickly spread, we have investigated the utilization levels, and issues around the facilities from the experienced teachers. In order to study the impact of easy access to smart devices, the teacher sampling groups were divided into two: one teacher group responsible for smart classrooms and the other group teaching in ordinary classrooms. Survey questions dealt with teacher needs analyses, their expectation of their students’ attitude changes, their satisfaction and utilization levels of smart devices currently built in classrooms. The results showed us that teachers have vague expectation about the smart devices and want more highly applicable devices for instruction, improvement of their compatibility with other multimedia devices or ap-plications as well as to improve the resolution of electronic boards. and basic functions of information search and videos that they use everyday.
한국어
지식기반사회에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교수․학습을 위하여 전국적으로 스마트교실을 설치하고 있다. 이러 한 경향은 빠르게 확산돼 갈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 사용 중인 스마트기기를 교육적 활용을 위하여 교사들을 중 심으로 활용 수준과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스마트기기의 접근 용이성에 따른 영향 평가를 위해 스 마트교실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와 일반교실을 주로 사용하는 교사로 대상을 구분하여 스마트 수업을 위해 요구되는 스마트기기에 대한 요구사항, 학생들의 변화에 대한 교사의 기대 수준 등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스마 트교실 및 스마트기기에 대한 활용 및 만족 정도를 통해 현재 설치된 스마트기기에 대한 수준을 분석하였다. 교 사들은 스마트기기에 대한 막연한 기대효과를 갖고 있으며, 활용도 높은 기자재와 주변 기기와의 호환성 개선, 수업에 적합한 전자칠판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정보검색, 동영상 등 기본적인 활용 수준으로 교사에게 익숙한 전자칠판의 기능 향상이 교육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조사개요 및 분석방법
2.1 조사개요
2.2 분석방법
3. 자료분석
3.1 학교급별 응답자의 일반적 성향
3.2 응답자의 스마트기기에 대한 일반적 성향
3.3 스마트교실 및 스마트기기에 대한 활용 및만족 수준(ASL)의 관계
4. 일반적 성향과 활용 및 만족 수준(ASL)의 관계
4.1 스마트교실 업무의 담당 여부와 ASL
4.2 스마트교실에서 활용빈도가 가장 많은 기자재의 선택과 ASL
4.3 전자칠판의 해상도와 ASL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