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Child-care center directors’perception of job performance, job stress, job satisfaction by types of Child-care center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ild-care center directors’ perception of job performance, job stress, job satisfaction by types of child-care center. Participants were 174 Child-care center directors in a public, private, and home child-care center located in Seoul and Kyunggi-do, and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survey. Study results show that, First, the home child-care center directors turned out to have more job performances in original, supporting business and teaching activity than those of public and private center. Second, the home and private child-care center directors turned out to have more job stress in original, supporting business and teaching activity than those of public center. Third,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center director was higher in the public child-care center directors than those of private and home center, and in sub-variables, all directors by types of center have a high job satisfaction for human relationship, ability and expertise. But tney showing a low job satisfaction for a pay and job itself.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기관유형별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수행인식,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를 살펴봄으 로써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에 대한 이해를 돕고, 효율적인 보육시설 운영 및 보육의 질 향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 원장 17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기관유형별 어린이집 원장들의 직무수행에 대한 인식은 가정 어 린이집 원장이 가장 높았고, 고유 업무를 가장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유 업무 수행 에 대한 인식은 국공립 어린이집 원장이 가장 높았고, 지원 업무와 교사 활동 수행에 대한 인식은 가 정 어린이집 원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관유형별 어린이집 원장들의 직무수행에 따 른 직무스트레스는 민간 어린이집 원장이 가장 높았고, 가정, 민간 어린이집 원장이 국공립 어린이집 원장 보다 더 직무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위영역인 고유 업무, 지원 업무, 교사 활 동에서도 민간, 가정 어린이집 원장이 국공립 어린이집 원장 보다 더 많은 직무스트레스를 받는 것으 로 나타났다. 셋째, 기관유형별 어린이집 원장들의 전체 직무만족도는 국공립 어린이집 원장이 가장 높았다. 그리고 하위영역에서는 전문지식 및 능력에서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인간관계, 근무환경, 시설․설비, 사회적 인정 순이었으며, 보수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 근무환경, 전문지식 및 능력, 직무자체에 대한 만족도는 국공립 어린이집 원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연구 절차
4.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기관유형별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수행인식
2. 기관유형별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스트레스
3. 기관유형별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만족도
Ⅳ. 논의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