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이야기 그림검사(Draw-A-Story)에 나타난 아동의 특성-상태 불안에 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Trait-State Anxiety of Children in DAS(Draw-A-Story)

김미영, 이숙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Draw-A-Story (DAS) could be a tool to evaluate a level of child anxiety through a correlation analysis of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STAI-C) and the scores of DAS including emotional content (DAS-E), self-images (DAS-S).This study is based on the survey of 350 children in their 4th to 6th residing in (address), Kyounggi Province. 307 responses of those surveyed were measured and analyzed for the research while 43 incomplete responses were excluded. STAI-C and DAS were used as main tools to measure a level of anxiety of targeted children. Collected data was inputted into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and various analy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SAIC and TAIC bot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school, realized level of happiness and realized condition of mental health, ye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school year, number of family members and birth order. There was a significant gap between the scores of DAS-E on TAIC and SAIC. There was a significant gap between the scores of DAS-S on TAIC and SAIC. The difference analysis on frequency of selection of stimulus pictures as per level of TAIC and SAIC was conducted to find out a significant result that a group with higher TAIC tends to select the picture of a snake (x2=6.60, p<.05) and a knife (x2=6.73, p<.05) and that another group with lower SAIC tends to select the picture of a woman in veil (x2=7.15, p<.01) and a castle (x2=8.96, p<.01). Frequency and cross-table analysis on the utilization of a drawing paper as per the level of anxiety showed that children with high anxiety are likely to utilize less part of a paper when drawing. Frequency and cross-table analysis of linguistic expressions of emotions as per level of TAIC showed that the expression, ‘I am very well’, was more frequently selected in a group with low TAIC than in a group with middle and high TAIC. The study described above is important as it implies that DAS can a tool with a discrimination capacity to measure and evaluate a level of child anxiety.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특성-상태 불안척도(Trait-State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STAI-C,1989)와 이야기그림검사(Draw-A-Story, DAS, 2005)의 정서내용점수, 자기상점 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DAS가 아동의 불안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서 활용가 능성이 있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시, **시에 거주하는 3개 초등학교의 4,5,6학년 아동 350명을 대상 으로 설문 검사하여 불성실한 답변, 미기재 등의 부적당한 것으로 판단되는 43부를 제외하고, 307부를 본 연구의 결과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아동의 불안 을 측정하기 위하여 한국형 소아 상태-특성 불안척도와 이야기 그림검사를 사용하였 다. 연구를 위해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아동의 불안수준은 개인 변인인 성별, 지각된 행복수준, 정신건강수준과 부적상관관계 를 나타냈고, 학년, 가족 수, 출생순위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 다. 특성-상태불안수준에 따른 DAS의 정서내용점수와 자기상점수는 부적상관관계가 있었고, 선택한 자극그림 중 불안집단은 통계적으로 칼과 뱀을 많이 선택했으며, 비불 안집단은 면사포 쓴 여인과 성을 많이 선택하였다. 그림표현의 특징의 차이에는 불안 이 높은 상(上)집단이 중(中), 하(下)인 집단보다 용지를 적게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는 DAS가 소아⋅청소년의 불안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변별력이 있음을 시 사하며, DAS가 소아⋅청소년들의 불안을 진단하는 도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했 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아동 및 청소년 불안
  2. 이야기그림검사(Draw-a-Story, DAS)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절차
  3. 연구도구
  4. 자료분석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1. 논의 및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미영 Kim, Mi-Young. 원광대 동서보완의학대학원 석사 예정
  • 이숙민 Lee, Sug-Mi. 원광대 보건보완의학대학원 미술치료학과 초빙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