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그림자 투사작용을 통해 본 영혼 돌봄의 패러다임 전환 모델과 과제

원문정보

Paradigm Shift Model and Direction of Soul Care by Understanding Shadow Projection

최창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is a study of a reflection of soul care based on the understanding Carl Jung's conception of the shadow and its projection process. Understanding the human inside, especially the shadow aspect of it, is an important calling for us who live in an age when sensual things are highly valued. Recognition of the shadow aspect of human nature is the first step forward to the self-realization of humans as being psychologically whole. This study explores the importance of listening and becoming conscious of the shadow language, one of the unconscious elements of the human psyche proposed in psychoanalysis, which has been forgotten in the soul care work. For this, this study first asserts some issues raised in the tendency of too much dependence on conscious language while showing less interest in unconscious language in soul care. Then it emphasizes that the human soul cannot be cared in the right way without an understanding of the wholeness of the human psyche which is broadly consisted with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The study of Carl Jung's understanding of the shadow and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its projection essentially calls upon paradigm shift of soul care models. As a result, this study emphasizes that modern soul care requires a paradigm shift from the conscious deflective model to the whole psyche model, ethical judgmental model to the healing care model, perfection-oriented model to the wholeness-oriented model. Then it draws attention to the quality that pastors should be equipped, that is, the ability to be able to understand, recognize and decode the shadow projection process in the modern soul care work, and suggests some appropriate and acquired tasks in each model.

한국어

본 논문은 융의 그림자 개념을 통해 인간 정신의 전체성을 이해하고 이를 영혼 돌봄에서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에 관한 연구이다. 21세기의 감각적인 시대에 인간의 내면, 특히 그 어두운 측면을 바르게 이해하는 것은 돌봄 사역자들의 중요한 사명이다. 왜냐하면 인간 내면의 그림자의 인식은 전체정신인 본연의 자기를 실현하는 첫걸음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심리학에서 밝힌 무의식의 요소인 그림자 연구를 통하여 영혼 돌봄에서 잊혀 진 그림자 언어를 듣는 것과 그림자 언어의 의식화의 중요성을 밝히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영혼 돌봄에서 의식의 언어에만 의존하고 무의식의 언어에는 관심을 거의 두지 않음으로써 발생하는 문제점을 지적한다. 나아가 인간의 정신세계는 크게 의식(conscious)과 무의식(unconscious)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간 정신의 전체성에 대한 이해 없이는 영혼을 바르게 돌볼 수 없다는 것을 강조한다. Carl Jung의 그림자 이해와 그림자 투사작용의 여러 특징과 기능에 대한 연구는 궁극적으로 영혼 돌봄 사역 모델의 패러다임 전환을 요청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의식 편향적 모델에서 전체정신의 모델로, 윤리적인 판단 모델에서 치유적인 돌봄 모델로, 완벽함의 모델에서 온전함의 모델로의 전환이 현대 영혼 돌봄의 시대적 요구임을 역설한다. 또한 현대 영혼 돌봄에서 그림자 투사작용의 이해와 인식과 해독능력의 중요성을 밝히고 각 모델별로 적절한 과제들을 제시하고 있다.

목차

I. 들어가는 글
 II. 펴는 글
  1. 그림자 투사작용의 이해와 특성
  2. 그림자 투사작용을 통해 본 영혼 돌봄의 모델
  3. 그림자 투사작용을 통해 본 영혼 돌봄의 과제
 III. 나가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국문초록

저자정보

  • 최창국 Choi, Chang Kug. 백석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