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Comparing Study on the Levels of Food Safety Control Behaviors According to the Types of Information Gathering : Focused on Foodservice Major College Students.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 of food safety control behaviors among the 3-types of food safety-related information gathering of foodservice-major college students. The 3-types of food safety-related information gathering is composed of working experience at the restaurants, experience of foodborne illness and study experience of HACCP. 5-food safety control behavior is selected from the 3 most critical food handling process-prior food purchasing, food inventory, cooking. The highest mean score of food safety control behavior is 'cooking with high enough temperature' and the lowest mean score is 'separating usage of cutting board and knife.' Working experience at the restaurants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regularly check up the temperature of refrigerator/freezer,' and experience of foodborne illness i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onfirm the expiration date and the condition of package.' However, all the other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food safety control behaviors. Overall, the practical and systematical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should be developed and accessed on the foodservice-major college students because there is no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3 types of experiences and the food safety control behavior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외식서비스를 전공하는 대학생들이 식품안전에 관한 정보습득 유형에 따라 식품관리행동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여러 지역 출신 학생들이 다수 재학하고 있는 대전지역 소재 대학교에서 외식서비스를 전공하는 대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학생들의 정보습득유형은 외식관련업체에 종사한 경험, 식중독사고 경험, 식품위생관리시스템 HACCP에 대한 학습 경험 등 3가지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모두 5개의 식품관리행동은 식품구매 이전, 보관, 조리 등 모두 3단계의 핵심적인 관리항목으로 선정하였다. 가장 평균점수가 높은 식품관리행동으로는 ‘충분히 가열하여 조리함’이었고, 가장 낮은 항목은 ‘칼과 도마를 구분하여 사용함’이었다. 실무적 경험이 ‘냉장/냉동고의 온도를 점검함’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질병적 경험이 ‘식품의 유효기간과 포장상태를 확인함’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이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과적으로 실무적 경험, 질병적 경험, 학습적 경험 등의 정보습득에 의해서는 식품관리행동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고, 향후 식품관리행동을 유발시킬 수 있는 체계적이고 실용적인 교육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3.1 모집단의 규정 및 표본추출방법
3.2 연구가설의 설정
3.3 변수의 정의 및 측정
IV. 연구 결과
4.1 표본의 일 반적 특성
4.2 표본의 식품구매 행태적 특성
4.3 식품안전 관리항목별 실행수준
4.4 가설의 검증
V. 결론 및 제언
5.1 연구의 결론
5.2 연구의 한계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