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현장교사의 연구학교 운영에 대한 질적 연구

원문정보

A Qualitative Study on the Operation of Research School Perceived by Field School Teachers

정주영, 안영식, 홍광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study is to identify that field school teachers recognize the problems and improving ways of research school. Literature review, case study and Focus Group Interview(FGI) are conducted for this study. As the research results, several problems of research school are shown such as environmental matter of research school subject, lack of professional manpower, administrative-oriented evaluation, difficulties of curriculum development, the difficulty of adjusting working hour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and lack of proper information. The solutions of these problems are provided as follows: ensuring a free external activities for the researcher's study, guarantee of the autonomy of research school, high quality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trength of professional support with external staffs, flexible personnel transfer to induce excellent teachers, intensive training of school teachers for research programs. Through the result of study, diverse suggestions are provided as follows. First, realistic needs of field school teachers can be found about the research school. Second,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making school policies. Third, the difference of teacher's degree and needs between past and present can be identified.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정책, 교육과정, 교육방법 등과 관련하여 교육부 혹은 시도단위 교육청에서 지정, 운영하고 있는 연구학교에 대해 이를 운영해 본 현장교사들의 견해를 탐색해 보는데 있다. 연구목적의 실현을 위해 연구학교 수행경험이 있는 교사 9명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학교 경험이 있는 또 다른 교사 5인을 대상으로 성찰일지를 작성케 하여 그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나타난 연구학교 운영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먼저, 연구학교 운영의 문제점은 첫째, 계획서 작성에 대한 부담감, 둘째, 연구 수행을 위한 환경의 문제, 셋째, 연구자의 연구 역량 부족, 넷째, 연구학교 평가의 부적절성, 다섯째, 연구시간의 부족, 여섯째, 연구학교에 대한 지나친 간섭, 일곱째, 연구학교 지원을 위한 정보 창구의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첫째, 연구학교 계획서의 간소화, 둘째, 연구학교 선정 및 평가 기관의 독립성과 전문성 확보, 셋째, 연구학교 주제 선정의 주체가 단위학교가 되도록 함, 넷째, 연구학교 정보의 축적과 공유를 위한 학회 구성, 다섯째, 연구학교 운영을 위한 자율권 보장, 여섯째, 연구자의 연구역량 지원 등으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연구학교 운영을 위한 교원의 현장감 있는 요구를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 이를 통해 연구학교 운영을 위한 정책 수립의 자료로 참고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목차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연구학교의 개념 및 유형
  2. 연구학교의 실태
  3. 연구학교 운영의 문제점
 Ⅲ. 연구방법
  1. 연구참여자
  2. 자료 수집
  3. 자료 분석
 Ⅳ. 현장교사의 연구학교 운영에 대한 생각
  1. 연구학교 운영의 문제점
  2. 연구학교가 나아갈 방향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주영 Ju Young Jung. 동의대학교
  • 안영식 Young Sik Ahn. 동의대학교
  • 홍광표 Kwang Pyo Hong. 부산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