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근무성적평정 및 교원능력개발평가 점수가 교원 성과상여금 등급 결정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A Discriminant Analysis of the Effect of Teacher Evaluation System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Performance Appraisal System on Rating of Performance-Based Pay System

김희규, 주영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 of Teacher Evaluation System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TESPD] and Performance Appraisal System [PAS] on Rating of Performance-Based Pay System [RPBPS]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discriminant analysis [DA]. In this pursuit, this research gathered data from 381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on the 2012-2013 results of three teacher evaluation systems [TES] – TESPD, PAS, and RPBP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s the RPBPS was high, both the TESPD and the PAS showed a high grade; 2) each grade within the TESPD and the PAS was high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However,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TESPD and the PAS was low; 3) DA results showed that even though Box’s M was significant at p < .000, the discriminant function was useful to classify the RPBPS; and 4) the PAS grades were the strongest predictor. This study suggests policy directions in education to unify evaluators in similar TESs, to construct an instruction- and student guidance-based TES, and to be amalgamated into one TES in the medium- and longer term.

한국어

본 연구는 수업 및 생활지도를 잘 하는 교원이 우대받는 교원 평가 체제 구축 관점에서 교원능력개발평가(동료교원평가, 학생만족도, 학부모만족도) 및 근무성적평정(동료교원 다면평가, 교장+교감평정 점수 합계) 점수가 교원 성과상여금 등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다원적 교원평가제도의 연계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 초·중·고등학교 교사 381명의 2012-2013 교원평가 평정 결과를 수집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판별분석(discriminant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기술통계량에 있어서 교원 성과상여금 등급이 높은 경우 교원능력개발평가 및 근무성적평정 점수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상관관계분석 결과 동일 평가 내 점수들은 상관관계가 전반적으로 높지만 교원능력개발평가 점수와 근무성적평정 점수는 상관관계가 낮았다. 셋째, 판별분석 결과 본 연구가 설정하고 있는 교원능력개발평가 및 근무성적평정 점수 관련 일곱 개의 독립변수는 교원 성과상여금 등급 구분에 충분한 설명력과 예측력을 갖추고 있었으며, 이 가운데 교원 성과상여금 등급을 구분해 주는 변수는 근무성적평정 점수 합계, 근무성적평정 동료교원 다면평가 점수, 근무성적평정 교장+교감평정 점수 등 근무성적평정 관련 점수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연구는 수업지도와 학생지도 중심의 교원평가제 연계 및 평가 영역 단일화를 위한 정책 과제 및 방향으로 평가 영역별 평가 요소 및 지표와 평가자 단일화 선행, 근무성적평정 점수 및 교원능력개발평가 점수를 중․장기적 측면에서 성과상여금 등급 결정 반영에 대한 고려 필요, 단계적인 통합 평가시스템으로의 개선․발전 등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1. 교원평가제도
  2. 교원 성과상여금 등급 영향 및 관계 요인 고찰
 Ⅲ. 연구 방법
  1. 조사 대상
  2. 분석 방법
 Ⅳ. 분석 결과
  1. 기술통계량 및 상관관계
  2. 판별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희규 Kim, Hee-Kyu. 신라대학교
  • 주영효 Joo, Young Hyeo. 동국대학교-경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