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아동의 부정문 습득에 관한 종단 연구

원문정보

A Longitudinal Study of Children’s Acquisition ofNegative Sentences

김지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orean children used both the forms ‘Ahn (Ah)+predicate’ and ‘predi- cate+Ahn’ for negative sentences in their early acquisition period. These forms of negative sentence resulted from their recognition of negation based on the concepts of comparison and contrariety for the negation of previously-acquired vocabulary. The negative element ‘Ahn’ was over- generalized beyond appropriate limits because it lessened the burden of producing new information through the use of old information. This phenomenon was shown equally in sentences connected by adverbial phrases. However, as the sessions of utterance increased, the word order became fixed in the structure ‘Ahn+predicate.’ In addition, children began to produce the same types of sentence as adults. On the other hand, long-form negative sentences were rare in children’s utterances for two reasons:first, the ability to convey meaning clearly, and, secondly, the ease of utterance length for short-form negative sentence. This led to an increase in the use of the ‘Ahn’ short-form negative sentence. The ‘Mot’ negative sentence appeared later than the ‘Ahn’ negative sentence. In the case of ‘Mot’ negative sentences,children recognized the negative sentence structures by the use of ‘Ahn,’ which they had acquired previously. They did not make a placement error with the negative element. However, in the case of ‘Mot’ negative sentences, they were unable to select a single negative element and made an error whereby ‘Ahn, Mot’ appeared together, as a result of previous acquisition of the ‘Ahn’ negative sentence. In addition, they made a semantic error in not distinguishing ability negation from negation of an intention by which an aspect of err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Ahn’ negative sentence could be identified. The ‘Mot’ long-form negative sentence did not appear in the utterances of all age-groups, as a result of the ability to communicate clearly and effectively using the ‘Ahn’ negative sentence.

한국어

아동은 이미 습득한 어휘 부정의 대조, 반대 개념을 바탕으로 부정문에 대한 인지가 나타났는데 ‘안’ 부정문 습득 초기에는 ‘안(아)+서술어’의 형태와 ‘서술어+안’의 형태를 함께 사용하였다. 부정소 ‘안’은 일반적으로 ‘안’이 올 수 없는 환경에서도 나타나는 과잉일반화 현상을 보였다. 이러한 현상은 부사어가 결합된 문장에서도 동일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구(舊)정보의 사용으로 신(新)정보 산출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는 장점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아동은 발화 차시가 늘수록 ‘안+서술어’의 구성으로 어순을 고정하였고 점차 성인과 동일한 문장을 산출하기 시작하였다. 한편 아동의 발화에서는 ‘안’ 장형부정문을 찾아보기가 힘들었고 이에 반해 ‘안’ 단형부정문은 과잉된 사용을 보이고 있었는데 단형부정문의 명확한 의미 전달과 발화 길이의 편이성으로 인한 효율적인 의사소통으로 그 쓰임이 적었을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못’ 부정문은 ‘안’ 부정문보다 늦게 나타났다. ‘못’ 부정문은 이미 습득한 ‘안’ 부정문으로 부정문의 문장 구성을 인지했기 때문에 부정소 배치 오류는 없었지만 이미 습득한 ‘안’ 부정문으로 인해 ‘안, 못’이 함께 나타나는 부정소 혼재가 나타났다. 또한 능력부정과 의도부정을 구분하지 못하는 의미 오류가 나타나기도 하였는데 이를 통해 ‘안’ 부정문과는 다른 의미상의 문제로 인한 부정소 선택의 오류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못’ 장형부정문은 모든 연령의 아동에서 대부분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점 또한 ‘안’ 부정문의 명확하고 효율적인 의미 전달성으로 인한 결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 대상 및 방법
 4. 연구 결과
  4.1. ‘안’ 부정문 습득 양상
  4.2. 아동의 ‘못’ 부정문 습득 양상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지숙 Kim, Ji-suk. 영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책책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