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focused on increasing of population aging and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This study i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age immigrant wives having elderly husband an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social service and human support. This analysis was used in the '2009 National Multicultural Families Survey' data is at least 65 years of age, married immigrant spouses wife 236 case. Descriptive statistics were perform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echniques. The effective variables of the marriage immigrant wives include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subjective health condition, education for social adjustment, whether an adviser is Korean when they face difficulties, and whether the frequency of contacts made with their families in homeland is more than once to three times a year. Analysis shows that these things works as the effect variable of marital satisfaction.
한국어
본 연구는 한국의 인구 고령화현상과 다문화가족 증가추세에 주목하여 남편이 노년기에 진입한 ‘노년기 다 문화가족’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 정도를 파악하고, 인적 지지와 사회 서비스의 결혼만족도 영향력 검증을 위해 시행되었다. 분석에는 2009년 실시된 ‘전국 다문화 가족 실태조사’ 자료에서 2009년 현재 남편의 나이가 만 65세 이 상인 여성결혼이민자 236케이스를 사용하여 기초통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노년기 남편을 둔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는 5점 만점에 3.9점이며, 어려울 때 의논상대는 모국인형이 36.6%로 가장 많으며, 모 국가족과는‘주 1~2회 이상’ 연락하는 경우가 44%로 가장 많았으며, 한국어교육을 가장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만족도 영향변인으로는 차별경험이 없을 때, 건강상태가 좋을 때, 어려울 때 의논상대가 한국인 일 경우, 모국가 족과 ‘년 1~3회’ 연락할 경우, 사회적응교육을 받았을 때 결혼만족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선행연구
2.1 노년기에 속한 다문화가정: 결혼 · 이혼 양상
2.2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3. 연구방법
3.1 자료 및 대상
3.2 자료 분석방법
3.3 측정 변인의 구성
4. 연구결과 및 해석
4.1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