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생태시의 언술 양상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aspects of declaration in korean ecological poetry

오정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haracteristic changes were made in the Korean modern poetry decennially, so were in 1990s’. The unusual type of poetry, so called, ‘ecological poetry’, neither ‘folk poetry’ nor ‘city poetry’ has come to the surface widely. This poetic subject is existing as a boundary line of binary and indicator, the category is constructed by ‘civilization’ and ‘nature’, ‘life’ and ‘death’, ‘continuance’ and ‘discontinuity’, ‘mutual understanding’ and ‘interruption’. Such poetic subject aims for ‘the language of the witness.’ This kind of statement corresponds to ‘compulsive repetition’. This ecological poetry has constructed by the poetic subject using various ways of statement. Various kinds of expressions, such as paradox and irony, image and symbol mixing objective descriptions and subjective statements, has been used.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poetries, Nevertheless, no difference could be found. The personal subject takes the role of a narrator or becomes the main body using poetic expressions. That is to say, the charismatic position of Poetic ego is kept as it stands. Thus, it is needed to find a way of statement out of subjective viewpoint. With this, such ecological poetry is developed with (1) discourses having specific marking (2) Apocalypic discourse of proclamatory statement (3) a new understanding about nature (4) eco-feminism. Apocalypic discourse among these discourses, which gives priority to educative messages, could not be gained aesthetic sensation. Biases of thematic consciousness, materialism should be overcome and also the dualistic structure of ‘nature/human’ leaped over in these ecological poetry. If only human-being’s behavior and human-being’s selfishness were criticized, that could be unrealistic discourses that are excluded human being. Nature, by its very nature, is in commotion, and, is the world of chaos which repeats commotion of unstability. So, finding a new way based on the new awareness about human and nature ecosystem is needed in korean ecological poetry world. ecological poetry in the true sense of meaning should be ecological not only in the form, also in the meaning and in the structure.

한국어

한국의 현대시는 10년 단위를 주기로 특징적인 변모를 거듭해왔던 바, 1990년 또한 그러하였다. 그것은 ‘민중시’도 ‘도시 시’도 아닌, ‘생태시’라고 명명된 시편들이었다. 이들 시를 슬라보예 지젝(Slavoj Zizek)의 ‘생태학적 위기에 한 세 가지 반응’에 입시켜보면, 이들 시는 ‘세 가지 반응’ 중 첫 번째 반응을 거부함으로써 시적 주체를 성립시킨다. 즉, 자크 라캉 (Jacques Lacan)이 말한 ‘상징계(the symbol)’의 고착화된 질서와 이데올로 기를 거절함으로써 시적 주체를 존립시킨 다. 이 주체는 이항 립의 경계 이자 지표로써 존재하는데, 그 항목은 ‘문명’과 ‘자연’, ‘생명’과 ‘죽음’, ‘지속’ 과 ‘단절’, ‘소 통’과 ‘불통’ 등으로 구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적 주체는 ‘목격자의 언어’를 지향한다. 따라서, 이들 시는 ‘보도문’(르포)이나 ‘기록물’(다큐멘터리) 형식을 취하는데, 자연에 시인의 감정을 이입시키지 않는다는 게 특징이다. 자연은 이미 훼손되어 있기 때문 에 ‘미학적 언어’로 서 자연의 모습을 ‘변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무의미하기 때문이다. 이들 시의 주체는 멸종 위기에 처한 동식물의 이름 을 반복해서 호명한 다. 이는 지젝의 ‘세 가지 반응’ 중 두 번째 형태인 ‘강박적 반복’에 해당된 다. 이런 강제적 의식(儀式 )을 행하지 않는다면 무어라 형언할 수 없을 만 큼 공포스런 X가 일어날 거야”라는 의식(意識) 때문이다. 이 X는 ‘상징적 질서의 불일치’이며 ‘자연 리듬의 교란 상태 ’를 의미한다. 따라서 생태시의 주체는 ‘목격자’ ‘관찰자’ ‘기록자’를 뛰어넘어 ‘사회적 자아’ ‘윤리적 자아’를 지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다양한 생태 담론이 나타났는데, (1) 특정 기표를 내세운 담 론 (2) 종말론적 묵시론 (3) 자연에 한 재발견 (4) 에코페미니즘 등이 그것이다. 이와 같은 담론 중 특히 종말론적 묵시론은 선언적 진술과 계몽적 메시지를 앞세워서 미학적 반향을 얻지 못했다. 이와 같은 담론은 시적 주체의 다양한 언술 방식 에 의해 구축되었다. 객관적 묘사와 주관적 진술을 혼용하면서 역설과 반어, 이미지와 상징 등의 다각적인 표현방식을 활용했다. 그러나 이들 시의 주체 역시 인격적 주체가 내레이터의 역할을 수행했고 시적 표현의 구심점을 맡았다. 다시 말해, 시적 자아의 카스마적 지위가 그로 유지되었다. 따라서, 시적 언술 방식 에 있어서 기존 시편과의 변별성이 발견되 지 않았으며, 탈(脫)주체적 관점의 새로운 언술 방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즉, 자연이나 사물의 관점 에서 생태계 위 기를 바라보는 새로운 문법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들 생태시는 주제의식이나 소재주의의 편향성을 극복 하고 ‘자연/인간’의 이분법적 구도를 뛰어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자연에 한 인간의 행태를 비판하고 인간의 이기성만 지적할 경우, 인간이 배척 되는 비현실적인 담론이 되기 때문이다. 지젝이 언급했듯이, 자연은 본질적 으로 동요하고 있 으며 불균형의 진동을 거듭하는 카오스의 세계이기 때문 이다. 따라서 한국의 생태시는 자연 생태계가 그러하듯 혼돈과 소통의 구조를 동시에 지녀야 하며, 이를 통해 독자의 창조적 상상력을 충족시켜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국문 요약
 1. 서론
 2. 주체의 성립
  1) 이항 대립의 지표
  2) 목격자의 언어
  3) 강박증의 언어
 3. 담론의 형성
  1) 특정 기표의 메시지
  2) 종말론적 묵시론
  3) 자연에 대한 재발견
  4) 에코페미니즘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오정국 Oh Jeongguk. 한서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