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역사과 교육과정 내용체제의 대강화와 성취기준 제시 방식에 대한 재검토

원문정보

Revisiting and Revising the National History Curriculum and Performance Standards for the Recognition and Reconstruction of Historical Knowledge

김민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dequacy of curriculum framework and curriculum documentation, including stating performance standards, for the current National History Curriculum and to propose the direction and tasks to enhance the curriculum framework. The review of literature and document analysis lead us to the point that history textbooks should be regarded as one of available texts, which the current slimmed national curriculum enables. Also theories and policies guide us to regard teachers responsible for students’ learning performance through the accountability perspectives and learners as active agents of constructing historical knowledge. The analysis of current curriculum reveals that although the slimmed version of Curriculum, performance standards center on the recall of historical information and knowledge, not sequentially allocated in the curriculum. Also performance standards vary depending on the purposes such as a part of national curriculum or national evaluation framework. Since both documentations use the same expression, it is hard to distinguish and customize its usage. This study suggests the documentation of performance standards to be reconstructed sequentially for students to be able to learn the nature of historical knowledge and methodological knowledge including historical thinking.

한국어

본고는 2007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서 도입된 교육과정 대강화의 원칙에 따라 구성된 역사과 교육과정 내용체제와 성취기준 진술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역할과 구성에 대해 재검토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역사 교과서를 활용 가능한 여러 교재 중의 하나로 보는 관점, 학생의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와 교육의 책무성을 연동하여 보려는 관점, 학습자를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고 의미를 깨닫는 능동적 존재로 보는 관점의 변화 속에서 교육과정 내용체제의 변화 방향을 검토하였다. 현행 국가수준 교육과정은 법적 고시 문서로서 역사교육의 내용을 규정하는 힘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역사교육의 방향성과 세부 내용을 안내하는 체계성을 갖추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역사교사의 책무성을 묻는 현재의 접근 속에서 교육과정의 대강화는 역사과의 지식 및 이해 영역에 치중된 성취기준의 진술로 귀결된다. 이는 역사 지식의 성격을 이해하고 관점의 인식과 지식 구성에 참여토록 하는 역사교육의 강조점과 거리가 먼 교과서 구성과 역사 수업 실행을 낳게 된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는다. 또한 성취기준의 용례나 의미의 부정확성과 교육과정-교수·학습-평가라는 목적별로 중첩되게 개발된 성취기준의 비체계성, 학교 현장에 형식적으로 보급되어 활용되지 않는 무용성 등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학생들이 역사 지식의 인식과 구성의 본질을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그 구성과정에 참여하는 방향에서 역사과 교육과정상의 성취기준 진술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역사적 사고력과 같은 역사 연구를 위한 방법론적 지식의 습득을 목표로 교육과정상 내용체제와 성취기준 진술을 상세화하고 체계화하는 방향으로 교육과정 내용체제의 개선을 제안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I. 머리말
 II. 현행 역사과 교육과정 내용체제와 성취기준 진술
  1. 교육과정 ‘대강화’와 성취기준의 문제
  2. 성취기준 개발 현황과 활용의 난점
  3. 성취기준의 구성과 편중
 III. 교육과정 내용체제 개선 방안
 IV. 맺음말
 주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민정 MinJung Kim. 서강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