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 교과내용학 >>

한나 아렌트의 공적 행복과 도덕교육적 함의

원문정보

Hannah Arendt’s Public Happiness andMoral Education Implication

천명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focuses on that concept and its practical value with reference to Hannah Arendt's concept of public happiness. In the 3rd chapter of 『On Revolution』, which is titled 「Pursuit of Happiness」, Arendt takes the American Revolution as an example of explaining the concept and political and ethical values of public happiness. As far as Arendt is concerned, happiness has two types, or private happiness and public happiness. She suggests that the happiness of human life lies in public happiness. Public happiness is a feeling from political actions in the public realm. However, what is inherent in Arendt's concept of public happiness is morality. This is attributed to her claims that judgement is a form of public happiness and that a prerequisite for public happiness is judgement. According to Arendt, judgement is not only political, but also ethical. This study primarily seeks to reconstruct Arendt's concept of public happiness into the concept of public happiness based on morality. With the implications of the reconstructed concept for moral education, then, the study ultimately aims to set the new goals of moral education and find how to firmly position and ethically practice public happiness in the public realm.

한국어

오늘날 현대인들은 공적 영역에서 정치적 행위를 통해서 경험하는 공적 행복의 정치적, 윤리적 의미를 충분히 알지 못한다. 이에 본 연구는 행복개념에서 소홀히 취급되었던 공적 행복의 개념과 그 실천적 가치를 한나 아렌트의 공적 행복 개념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아렌트는 『혁명론』의 제3장 「행복 추구」에서 미국혁명을 통해 공적 행복의 개념과 정치윤리적 가치를 설명해 놓았다. 아렌트에게 있어 행복은 사적 행복과 공적 행복으로 나누어지며, 인간다운 삶의 행복은 공적 행복이다. 공적 행복은 공적 영역에서 정치적 행위를 통해서 얻게 되는 감정이다. 그런데 아렌트의 공적 행복 개념은 도덕성을 담보한 행복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그 첫 번째 근거는 공적 행복의 형태로 존재하는 판단(judgment) 개념 속의 상상력(imagination)이 도덕성을 담보하게 하는 도덕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점이다. 두 번째의 근거는 공적 행복이 도덕성을 갖춘 시민들만이 경험할 수 있는 행복을 의미한다는 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아렌트의 공적 행복의 개념을 도덕성을 함축한 공적 행복의 개념으로 재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 개념이 도덕교육적 함의를 가짐을 토대로 하여 도덕교육의 새로운 목표를 정립하고, 도덕교육에서 공적 행복의 위상과 윤리적 실천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을 궁극목적으로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행복과 정치윤리
 Ⅲ. 아렌트의 공적 행복과 도덕성
  1. 공적 행복
  2. 공적 행복의 도덕성
 Ⅳ. 공적 행복의 도덕교육적 시사점
  1. 윤리학과 공적 행복, 그리고 도덕교육
  2. 도덕교육의 목표: 행복한 시민의 함양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천명주 Chun, Myung-Ju. 부산대학교 윤리교육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