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제14회 진각논문대상 논문

욕망의 주체에 의한 ‘심상(心像, saṃjña)’의 언어화 - 유식불교 ‘변계소집성’과 라캉의 ‘상징계’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Verbalizing ‘The Image(saṃjña)’ by the Subject of Desire - Focus on Yogācāra Buddhist ‘parikalpita-svabhāva’ and J. Lacan's ‘the Symbolic’ -

안환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is a study analyzing the role and aspect of desire forming the culture. For that I focus on the concept of Yogācāra Buddhist ‘parikalpita-svabhāva’ and J. Lacan’s ‘the Symbolic’ explaining how the image(saṃjña) is verbalized. There is difference in perspective between Yogācāra Buddhism showing the way to nirvana by overcoming desire and the theory of J. Lacan explaining the phenomenon of mind by analyzing the activity of desire itself. All the results of desire are regarded as affliction in Yogāgacāra Buddhism. So Yogāgacāra Buddhism suggest the practice as way to extinct affliction. On the other hand J. Lacan thought the process in which man is born and develops as that in which man goes from ‘the Imaginary’ to ‘the Symbolic’ naturally. When man stays on the ‘the Imaginary’ without receiving ‘the Symbolic’, he comes to be unhealthy. So he needs psychoanalyst’s help. I think that the desire can be a driving force for ordinary life of human beings. Harmonizing the desire between himself and others, man makes living with forming the culture and rule of community. However when man does not look into the nature of desire and clings to the result of that, he comes to be a diseased sate as two theories show. When man is able to analyze the content of desire expressed by his own language, he may live with other people harmoniously. I think that this is the effect of practice as shown by Yogāgacāra Buddhism and this is the way to make healthy language life in ‘the Symbolic’ by J. Lacan.

한국어

본 연구는 유식불교의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과 라캉의 ‘상징 계(the Symbolic)’가 ‘심상(心像, saṃjña)’이 언어화되는 양상을 설명 하는 주요 개념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문화를 형성하는 메커니즘에 있어서 인간의 욕망은 어떤 역할을 하며 그 양상은 어떠한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욕망의 극복을 통해 해탈에 이르고자 하는 유식불교와, 욕망 그 자 체의 활약을 분석함으로써 심리현상을 설명하고자 하는 라캉의 이론 은 인간의 욕망에 대해 각기 다른 관점을 보이고 있다. 유식불교는 기 본적으로 욕망에 의해 형성된 모든 결과를 번뇌로 규정한다. 따라서 이것을 소멸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써 수행을 제안한다. 반면 라캉은 인간이 태어나서 성장하는 과정을 상상계에서 자연스럽게 상징계로 진입하는 것으로 본다. 상징계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상상계에 머물러 있을 때 건강하지 못한 상태가 된다는 것이다. 이 때 정신분석가의 역 할이 요구된다. 인간의 욕망은 일상적인 삶을 살아가는 데 중요한 원동력이 될 수 있다. 인간은 언어를 통해 자신의 욕망과 타인의 욕망을 조율하면서 공동체의 규칙 및 문화를 형성하며 살아간다. 하지만 두 이론이 보여 준 바와 같이 욕망의 본성을 간파하지 못하고 욕망의 결과에 집착하 거나 고착화되어 있을 때 번뇌가 생겨나고 병적인 상태에 이르게 된 다. 인간은 자신의 언어로 표현된 욕망의 내용을 스스로 분석할 수 있 을 때, 그는 자신의 욕망을 조율하여 타인과 조화로운 삶을 살 수 있 게 될 것이다. 이것이 유식불교가 제시하는 수행의 효과이며 라캉이 보여준 바와 같이 상징계 속에서 건강한 언어생활을 할 수 있는 방법 일 것이다.

목차

국문 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유식불교와 라캉이론의 만남
 Ⅲ. 욕망, 삶의 원동력인가?
  1. 유식불교와 라캉이론의 욕망
  2. 욕망의 주체
 Ⅳ. ‘심상’의 언어화
  1. 유식불교의 ‘변계소집성’
  2. 라캉의 ‘상징계’
 Ⅴ.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안환기 Hwan-ki, Ahn. 서울대 종교문제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