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Meta-analysis of Music Therapy Variables : With Focus on Age Variables such as Adults and Senior Citizens
초록
영어
In this study, the variables that showed therapeutic effect in the music and therapy studies conducted over the last 10 years from Jan 2000 till Jul 2013 were categorized into psychological variable group, physiological variable group, social variable group, cognitive variable group and then the effect of the therapeutic variables were analyzed and measured using meta-analysis. In addition, the variation of effect in conjunction with subject(adults, senior citizens) and subject types (mental psychology, physical physiology, social adjustment) were examined. The results showed all variable groups had significant effect. Of them, psychological variable group- suppression showed the greatest effect size, followed by in the order of psychological variable group-enhancement, socal variable group, physical variable group, physiological variable group and cognitive variable group. With regard to the effect by subject, psychological variable group-suppression, enhancement and social variable group showed significant effect; integration in psychological variable group-suppression showed the greatest effect, followed by in the order of adults and senior citizens. In psychological variable group-enhancement, adults showed the greatest effect, followed by senior citizens. In social variable group, adults showed the greatest effect, followed by in order of integration and senior citizens. With regard to the effect by subject type, psychological variable group-suppression and enhancement showed significant effect, and mental psychology in psychological variable showed the greatest effect, followed by in the order of social adaptation and physical physiology. In psychological variable group-enhancement, mental psychology showed the greatest effect, followed by social adapt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지난 10여년 간(2000년 1월∼2013년 7월) 음악치료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를 바탕으로 치료효과를 나타낸 변인들을 심리변인군(억제, 강화), 신체변인군, 생리변인군, 사회성변인군, 인지변인군으로 분류한 뒤 메타분석을 통해 치료효과 변인들의 효과크기를 분석했다. 또한 대상(성인, 노인)과 대상유형(정신심리, 신체생리, 사회적응)에 따라 효과크기가 어떻게 변화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모든 변인군이 유의미한 효과를 가진 것을 나타났으며, 심리변인군-억제기능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 심리변인군-강화기능, 사회성변인군, 신체변인군, 생리변인군, 인지변인군 순으로 나타났다. 대상에 따른 효과크기는 심리변인군의 억제기능과 강화기능, 사회성변인군이 유의미한 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변인군-억제기능에서 통합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 성인, 노인 순이었다. 심리변인군-강화기능에서는 성인, 노인 순으로 나타났고 사회성변인군에서는 성인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 통합, 노인 순으로 나타났다. 대상유형에 따른 효과크기는 심리변인군의 억제기능과 강화기능이 유의미한 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변인군-억제기능에서 정신심리가 가장 큰 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 사회적응, 신체생리 순으로 나타났다. 심리변인군-강화기능에서는 정신심리, 사회적응 순으로 나타났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선정 및 수집
2. 자료분석 방법
Ⅳ. 결과
1. 음악치료 효과와 관련된 변인군의 효과크기
2. 음악치료 효과와 관련된 대상에 따른 변인의 효과크기
3. 음악치료 효과와 관련된 대상유형에 따른 변인의 효과크기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