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第6次 敎育課程 日本語 敎科書의 意思疏通機能 反映 實態 調査 - 高等學校 檢認定 敎科書 日本語Ⅰ을 中心으로 -

원문정보

제6차 교육과정 일본어 교과서의 의사소통기능 반영 실태 조사 - 고등학교 검인정 교과서 일본어Ⅰ을 중심으로 -

趙成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목차

1. 머리말
 2. 硏究의 方法과 범위
  2.1. 意思疏通 機能의 槪念
  2.2. 硏究의 方法과 範圍
  2.3 第6次 日本語科 敎育課程 意思疏通 機能의 分類
 3. 10種 敎科書 單元別 內部體制의 구성
 4. 敎科書別 意思疏通 機能의 反映實態
  4.1. 主要 意思疏通 機能의 單元 內部體制 反映 實態
  4.2. 『읽기』에서의 意思疏通 反映 實態
 5. 結論 및 提言
 참고문헌
 <부록Ⅰ>
 <부록 Ⅱ>

저자정보

  • 趙成範 조성범. 경복여자정보산업고등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