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집단적 교사효능감, 개인적 교사효능감 및 교사협력 간 구조적 관계

원문정보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llective Teacher Efficacy, Personal Teacher Efficacy and Teacher-Collaboration

권순형, 김도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llective Teacher Efficacy, Personal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Collaboration. After literature review, Measurement tools based on previous research related variables were utilized for main survey.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315 teachers in Gang-won province of Korea for 2013 September were randomly sampled, 292 final samples(92.69%) were utilized except for insincere- response and non-response questionnaires in the final analysi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18.0 and AMOS 18.0 through SEM method. The correlation among the research variables were investigated, the goodness of fit of the research model was verified as well, =73.468 (df = 23, p= .000), RMR = .019, GFI = .950, AGFI = .902, RMSEA = .080, NFI =. 929, TLI = .921, 1CFI = .949, the path-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of the three variables. This study'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llective Teacher Efficacy exerted an influence on Personal Teacher Efficacy, Teacher-Collaboration. Second, Teacher-Collaboration exerted an influence on Personal Teacher Efficacy. Third, Collective Teacher Efficacy affected Personal Teacher Efficacy through the positive mediating variable of Teacher-Collabor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집단적 교사효능감과 개인적 교사효능감 및 교사 협력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 관련 변인 간 적실성 있는 시 사점을 살피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의 문헌 고찰을 토대로 각 변인 간의 관계를 살피고 집단적 교사효능감과 개인적 교사효능감 및 교사 협력의 구조적 관계 모형을 설정하였다. 구조적 관계 탐색을 위한 측정도구는 선행 연구 고찰을 토대로 관련 변인에 대한 측정도구를 활용하였으며, 표집은 강원 도에 근무하는 초·중등교사 315명을 대상으로 2013년 9월 1일부터 15일까지 무작위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불성실한 응답 및 무응답 설문지를 제외한 292부(92.69%)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을 활 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으로 분석되었다. 자료의 왜도와 첨도 분포 결과를 살펴보면 분석결과, 왜도는 -.591~.293, 첨도는 -.549~1.165로 나타나 왜도 절대값 3미만 , 첨도 절대값 7미만의 기준에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 모형의 적합도는 절대적합도 지수 73.468(df=23, =.000), RMR=.019, GFI=.950, AGFI=.902, RMSEA=.080으로 나타났으며, 증분적합도 지수 NFI=.929, TLI=.921, 1CFI=.949로 나타났으 며 모형의 적합도 수준은 대체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내용에 터한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적 교사효능감은 개인적 교사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 협력은 개인적 교사효능감에 대하여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적 교사효능감은 교사 협력을 매개하여 개인적 교사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1. 교사 협력(teacher collaboration)
  2. 집단적 교사효능감(collective teacher efficacy)과 개인적 교사효능감(personal teacher efficacy)의 관계
  3. 교사 협력(teacher collaboration)과 교사효능감(teacher efficacy)의 관계
  4. 연구 모형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측정 도구
  3. 자료의 처리
 Ⅳ. 연구 결과
  1. 통계적 가정 검토 및 상관분석 결과
  2.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3. 집단적 교사효능감, 개인적 교사효능감 및 교사 협력의 관계 및 직·간접 효과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권순형 Kwon soon-hyoung.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일반연구원
  • 김도기 Kim do-ki. 한국교원대학교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