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과 직무만족도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원문정보

Kindergarten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its Relations to Job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안혜정, 이승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the overall aspects of kindergarten teachers’ emotional labor, the differences in it according to their personal and institutional variables, and the correlations of their emotional labor with job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Subjects consisted of 334 kindergarten teachers, working at public or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Korea, an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including ‘Emotional Labor of Teaching Scale’ (Brown, 2011), revised ‘Job Satisfaction Measurement Scale for Childcare Teachers’ (Lee, 2007), and ‘Indirectly Perceived Social Support Scale’ (Park, 198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emotional labor level was slightly over the average in general, and among the sub-categories of emotional labor, deep acting was the highest and surface acting was the lowest. According to the variabl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only in their kindergarten types and working hour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s between sub-categories of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deep act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while surface acting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Third, in terms of the correlations between sub-categories of emotional labor and social support, natural emotions and deep acting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while surface acting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한국어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에 대한 전반적인 경향 및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과 직무만족도 및 사회적 지지 간의 관계성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국공립ㆍ사립 유치원에 근무하는 유치원 교사 3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을 측정하기 위해 Brown(2011)의 ‘교사용 정서노동 척도(Emotional Labor of Teaching Scale: ELTS)’를 사용하였으며,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이진화(2007)의 ‘보육교사 직무만족도 측정도구’를 유치원 교사에게 적합하게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박지원(1985)이 개발한 ‘간접적으로 지각한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은 내면적 노력행위, 자연적 표출행위, 표면적 가장행위 순으로 많이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별 차이에서는 기관유형과 근무시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 유형 중 내면적 노력행위는 직무만족도와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표면적 가장행위는 직무만족도와 부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 유형 중 자연적 표출행위 및 내면적 노력행위는 사회적 지지와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표면적 가장행위는 사회적 지지와 부적 상관이 있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및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 경향 및 변인별 차이
  2.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3.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과 사회적 지지의 관계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안혜정 Ahn, Hye Jung. 이화여자대학교 박사과정
  • 이승연 Lee, Seung Yeon. 이화여자대학교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