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직이수 대학생의 교직희망동기와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귀인유형의 조절효과

원문정보

Moderating Effects of Attributional Sty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oping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

이현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motivation for hoping the teaching profession and attributional style on teacher efficacy.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attributional sty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for hoping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eacher efficacy level. 258 college students were participated to analyze the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stepwise & hierarchical methods). This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correlational analysis showed that active motivation for hoping the teaching profession and internal attributional style associated positively with teacher efficacy, but passive motivation for hoping the teaching profession and external attributional style associated negatively with teacher efficacy. This results meaned that the more active motivation and internal attributional style the higher teacher efficacy level. Passive motivation and external attributional style were the opposite. Second, active motivation was the best predictor of teacher efficacy(β=.52, p<.001). Third, external attributional styl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e motivation for hoping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eacher efficacy level. This results suggest that the strengt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active motivation level differs with the level of external attributional style. Therefore high external attributional style acts as a weakening factor of the effects of active motivation. Consequently, the moderating effect of attributional style was confirmed.

한국어

이 연구에서는 교직과정을 이수 중인 남녀 대학생 258명을 대상으로 교직희망동기와 귀인유형, 교사효능감에 대한 자기보고식의 질문지를 배부․수거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통해 교사 효능감과 교직희망동기, 귀인유형의 관계를 분석하고 있다. 연구 결과, 능동적 동기와 내적 귀인유형은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들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외적귀인유형은 물질적 동기 및 수동적 동기와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리고 교사효능감에 대한 귀인유형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능동적 동기와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외적귀인이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적 귀인 수준이 낮은 경우에 능동적 동기 수준이 높으면 교사효능감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외적 귀인 수준이 높은 경우 능동적 동기 수준은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국 교직이수 대학생의 교사효능감을 위해서는 능동적 교직희망동기를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여야 하며, 한 걸음 더 나아가 능동적 교직희망동기를 약화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평소 내적귀인을 유도해야 함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들과 논의하였고, 교사효능감의 향상을 위하여 귀인훈련의 필요성과 그에 따른 결론을 내리고 있다.

저자정보

  • 이현주 Lee, HyunJu. 배재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