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인지수준과 과학의 물질 단원 내용수준 비교 분석 및 교사들의 인식

원문정보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gnitive Level of 10th Grade Students and the Content Level of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Matter Unit and Perception of Teachers

김성숙, 박소영, 정미현, 류상미, 강성주, 박국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k for improv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cognitive level of 10th grade students and the content level of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s matter unit and examining th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se issues. For this study, the cognitive level of 336 10th grade students from 4 areas were analyzed using SRT Ⅲ (Science Reasoning Task III) and the content level of 10 scientific concepts selected from the matter unit of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were analyzed using CAT (Curriculum Analysis Taxonomy). How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understood these issues was also examined. The result showed that 51% of the research subjects were the formal operational level, 30% of the transitional level, and 19% of the concrete operational level. The percentage of students of the formal operational level varied according to each school. The scientific concepts of the matter unit of the 6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were mostly of the early formal operational level. However, the content level of the same scientific concept varied according to each textbook, since the level of each textbookordiexpdeining scientific concepts to students and the answers theyiexpected from students were different. Furthermore,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considered the content level of the scientific concepts lower than the actual content level analyzed through teptsAT. Such d6 harmonyibetween the cognitive level of students and the content level of the scientific concepts and the wrong conceptt. Furtteachers of the content level of the scientific concepts effects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scientific concept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I Furder to solve the discordance between the level of students and scientific concepts and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students of scientific concepts, teachers should develop the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considers the cognitive level of students and content level of scientific concepts, by analyzing the cognitive level of students and understand the content level of scientific concepts of science textbooks, prior to class.

한국어

이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인지수준과 고등학교 과학 물질 단원의 내용수준을 비교 분석하고, 이에 대한 공통과학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4개 지역의 고등학교 1학년 학생 336명을 대상으로 SRT III (science reasoning task III)를 사용하여 인지수준을 조사하였으며, 고등학교 과학 물질 단원에서 10개의 과학 개념을 추출하여 CAT (curriculum analysis taxonomy) 분석틀로 내용수준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공통과학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51%가 형식적 조작기 수준이었으나, 30%의 학생들과 19%의 학생들은 각각 과도기 수준과 구체적 조작기 수준이었으며, 형식적 조작기 수준의 학생 비율은 학교별로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교 6종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물질 단원 과학 개념들의 내용수준은 대부분 초기 형식적 조작기 수준이었으나, 같은 과학 개념이라도 설명하는 수준과 학생들에게 요구하는 답변의 수준 차이로 인해 교과서별로 내용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과학교사들은 과학 개념의 내용수준을 CAT 분석틀로 분석된 실제의 내용수준에 비해서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인지수준과 과학 개념의 내용수준의 불일치와 과학교사들의 과학 개념 내용수준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학생들의 과학 개념에 대한 이해도와 교수-학습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러므로 학생들의 인지수준과 과학 개념 내용수준간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과학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과학교사들이 학생들의 인지수준과 과학 개념의 내용수준을 사전에 파악하여, 학생들의 인지수준과 과학 개념의 내용수준을 고려하는 교수-학습 전략이 필요하다.

저자정보

  • 김성숙
  • 박소영
  • 정미현
  • 류상미
  • 강성주
  • 박국태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