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학교 수학교사의 발문 행동에 관한 분석

원문정보

An analysis on mathematics teachers' questioning behaviour

이기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mathematics teachers' questioning behavior. Subjects are 2 male and 2 female mathematics teachers who are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work in S-middle school. Total of 8 lessons are video recorded and interviews are carried out. The result findings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First, the average number of mathematics teachers' questioning in one lesson at middle school is about 30 with personal differences. As they teach students by their belief on teaching-learning, the number of questioning increases. However, there i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number of questioning. Second, the type of mathematics teachers' questioning is shown to be 82% of the closed questioning and 18% of the open questioning ). As they teach real life contents and use technological tools, number of open questioning increases. However, there i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type of questioning. Third, the distribution of the wait-time is obtained to be 77% of 0~3 seconds, 18% of 3~6 seconds, and 5% of 6 above seconds. The average of wait-time is 2.5 seconds in 45-minutes mathematics lesson. As they ask open questions, the wait-time become longer. There i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wait-time.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mathematics teachers make use of various type of questioning in order to enhance students' complex thinking ability. In addition, longer wait-time is expected to stimulate students' various respones and refletive thinking.

한국어

본 연구는 중학교 수학교사들의 발문 행동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중학교 남녀 수학교사 각 2명씩을 대상으로 발문의 유형과 응답대기시간에 관한 사례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중학교 수학교사의 발문 빈도수는 평균적으로 45분 수업 당 약 30회 정도의 발문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학교사들은 자신의 교수-학습 관점에 따라 신념을 구현할 수 있는 내용을 지도하는 경우에 발문의 빈도수가 평균보다 많아지고, 수업 방법별로는 실생활과 관련 있는 수업을 하거나 교구를 통한 활동 중심의 수업을 하는 경우에 발문 빈도수가 평균보다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학교사의 발문 유형은 폐쇄적 발문 대 개연적 발문의 비가 83:17을 보여 개연적 발문이 상대적으로 많이 적었다. 수업 방법별로는 개념, 원리 위주의 지도를 하거나 간단한 응용문제를 푸는 경우에는 폐쇄적 발문의 비율이 높이 나타나는 반면에, 실생활과 관련이 많은 내용을 수업하거나 수학교구를 활용한 수업에서는 개연적 발문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수학교사들의 발문 후 응답 대기 시간은 3초 미만인 경우가 77%, 3초 이상 ~ 6초 미만인 경우가 18%, 6초 이상의 경우는 5%의 분포를 보였고 평균 응답 대기 시간은 약 2.5초로 나타났다. 특히, 개연적 발문의 경우에 응답 대기 시간이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자정보

  • 이기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