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쑥갓(Chrysanthemum coronarium L.)에 처리된 살충제 Methoxyfenozide에 대한 몇 가지 설정기준

원문정보

Establishment of Criteria for Methoxyfenozide on Crown Daisy (Chrysanthemum coronarium L.)

김창성, 송창훈, 추환용, 김평열, 장한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iological half-life and the pre-harvest residue limit of insecticide methoxyfenozide in crown daisy(Chrysanthemum coronarium L.). Methoxyfenozide was sprayed with recommended and double recommended rate on crown daisy during cultivation period. Samples were collected over 14 days, 8 times in total (2hr and 1, 2, 3, 5, 7, 9, 14 days). Methoxyfenozide was extracted with acetonitrile and partitioned with dichloromethane, and analyzed using an UPLC/PDA. Limit of quantitation (LOQ) of methoxyfenozide was 0.02 mg/kg, and the recoveries at two fortification levels of 0.2 and 1.0 mg/kg were 80.0 and 85.1%, respectively. The biological half-life of methoxyfenozide was about 5.7 and 5.6 days at recommended and double recommended rate, respectively. If methoxyfenozide were practically applied to crown daisy at 10 days before harvesting, the final residue level was predicted to be lower level than maximum residue limit. Therefore, the results were expected to applied to survey data of comparison target that residue of methoxyfenozide, method quantitation limit and biological half-life as evidence of plant and pesticide.

한국어

본 연구는 쑥갓(Chrysanthemum coronarium L.) 재배지에 살충제 methoxyfenozide를 기준량과 배 량으로 살포한 후 경시적으로 채취하고 식물체 중 잔류량 측정을 통한 생물학적 반감기를 조사하여 생 산단계 허용기준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쑥갓 시료는 methoxyfenozide를 표준처리 량과 배량으로 처리한 후 14일에 걸쳐 8번(2시간, 1, 2, 3, 5, 7, 9 및 14일)채취하였다. Methoxyfenozide 는 acetonitrile로 추출하여 dichlorometane으로 분배한 후 PDA가 장착된 UPLC로 분석하였다. Mehtoxyfenozide의 정량한계는 0.02 mg/kg 이었고 회수율은 0.2와 1.0 mg/kg의 수준에서 각각 80.0과 85.1% 이었다. 생물학적 반감기는 기준량과 배량 처리에서 각각 5.7과 5.6일 이었다. Methoxyfenozide가 수확전 10일에 쑥갓에 처리되면 수확 시 잔류량은 최대잔류허용량 미만으로 검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 러므로 쑥갓에 처리된 살충제 methoxyfenozide의 잔류량은 물론, 정량분석한계 및 생물학적 반감기 등의 자료는 식물체 및 농약의 증거물로서 비교대상의 표준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시험 농약 및 포장 내역
  2. 표준검량선 및 정량분석한계
  3. 시료 전처리 및 회수율 시험
  4. 생물학적 반감기 및 생산단계 허용기준
 결과 및 고찰
  1. 쑥갓의 증체율 및 기상조건
  2 검량선, 회수율 및 검출한계
  3. 잔류량 변화 및 생물학적 반감기
  4.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
 결론
 감사의 글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창성 Chang Sung Kim.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헬스케어연구소
  • 송창훈 Chang Hoon Song.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헬스케어연구소,
  • 추환용 Hwan Yong Choo.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헬스케어연구소,
  • 김평열 Pyoung Yeul Kim.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헬스케어연구소
  • 장한섭 Han Sup Jang.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